"해외펀드 역헤지, 어찌하오리까"

머니투데이 서명훈 기자 2008.10.09 10:46
글자크기

감독당국 개입 어려워.. "한은 스와프 시장 지원" 시급

해외펀드가 환율 상승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금융감독 당국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해외펀드가 환율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지만 마땅히 내놓을 카드가 없기 때문이다.

금융감독 당국 관계자는 9일 “해외펀드가 환율 상승 요인이 되지 않게 하려면 오버 헤지 청산을 늦추는 방법 밖에 없다”며 “하지만 이는 감독당국이 지도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닌데다 청산 지연으로 손실이 커졌을 경우 당국이 책임질 수도 없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외환시장에서는 해외펀드를 환율 폭등의 주범으로 지목하고 있다. 해외 주식시장 폭락으로 해외펀드의 순자산가치(NAV) 하락함에 따라 운용사들은 환헤지 규모를 축소하고 있다. 헤지 청산을 위해 선물환과 선물 달러를 대거 매수하면서 환율 급등을 부추기고 있다는 설명이다.

예를 들어 80%로 헤지비율을 책정한 해외펀드의 경우, 100억원의 자산가치가 80억원으로 하락하면 80억원의 80%에 해당하는 64억원에 대해 헤지를 하면 된다. 이 경우 이미 헤지(선물환·선물 매도)한 금액(80억원)에서 16억원어치 헤지를 풀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선물환과 선물을 매수하고 있는 것.



자산운용사와 투신사들의 오버 헤지 해소 방식에 대한 문제도 제기된다. 전날 NVA 하락에 맞춰 헤지비율을 기계적으로 맞추다 보니 무조건 달러 매수에 나선다는 지적이다. 환헤지 비용은 모두 투자자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기계적인 매수에 나서고 있다는 비난도 나온다.

이에 대해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헤지 해소 과정이 다소 기계적이라는 지적은 보기에 따라 그럴 수도 있다”며 “하지만 지금처럼 환율이 급등하는 때에 오버 헤지를 늦게 해소한다면 손실이 더 커질 수밖에 없고 이는 펀드 수익률 하락으로 직결된다”고 해명했다.

펀드 수익률이 나쁠 경우 사직까지 감안해야 하는 펀드 매니저로서는 정상적인 업무처리라는 항변인 셈.


투신사들 역시 같은 입장이다. 투신사 한 관계자는 “해외펀드 구조상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는 점을 이해해 달라”며 “해결책은 한국은행이 스와프 시장에 달러 공급을 확대하거나 외환보유액을 풀어 환율을 낮추는 것 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