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 올림픽 후 감속 성장-삼성硏

머니투데이 여한구 기자 2008.08.06 12:01
글자크기

-국내기업 리스크 관리 필요

베이징올림픽 이후 중국 경제의 성장 둔화가 불가피해 우리나라 기업의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가 6일 발표한 '베이징 올림픽 이후 중국 경제'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성장·물가·자산가격·투자 등에서 과열상태인 중국 경제는 올림픽 이후 감속 성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내년 중국의 건설투자는 올림픽 특수의 소멸과 부동산 가격 하락에 따른 영향으로 성장세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부동산 가격 하락→부실자산 증가→금융기관 채권 부실화→대출기피→투자위축의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설비투자 부문도 조업률 하락과 과잉투자에 대한 조정 필요성, 채산성 악화, 수출둔화 등으로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연구소는 내다봤다.



중국의 수출여건도 세계경제가 하락세에 접어들면서 악화될 조짐이 뚜렷하다고 판단했다.

지표상으로도 올해 상반기 중국의 무역흑자가 전년동기 대비 11.8% 감소했고, 6월 무역흑자는 전년동월 대비 21.7% 하락했다. 물가상승 및 임금인상으로 생산비가 증가하고, 올해들어 절상폭이 6%를 초과하는 등 위안화 평가절상으로 수출경쟁력도 약화됐다.

게다가 올해부터 외자기업에 대한 세제혜택 폐지, 외자기업과 중국기업에 대한 동일 법인세율(25%) 적용 등 외국기업에 혜택이 크게 줄어 세계의 저가품 공급기지로서의 장점도 현저히 약화돼 있다.


또 실질 GDP(국내총생산) 대비 소비지출 비중이 2001년 36.4%에서 2007년 33.2%로 3%포인트 이상 축소되는 등 가계의 소비지출도 급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등 소비 증대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연구소는 이 같은 경기 여건과 중국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을 고려했을 때 10%대 고성장을 지속했던 중국 경제의 내년 경제성장률은 8.1% 정도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소는 중국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으로는 급격한 경기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성장기조는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 억제에 주력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연구소는 "현 시점에서 가능성은 낮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은 베이징올림픽 이후 중국경제의 성장률이 7%대로 급락하는 최악의 상황까지도 염두에 둔 리스크 관리에 주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수출의 22.1%를 차지하는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의 실질 GDP가 1%포인트 하락하면 대 중국 수출은 2.5%포인트 감소하게 돼 기업들은 막대한 타격을 감수해야 한다.

표민찬 삼성연 수석연구원은 "특히 중국기업이 경기급랭에 대응해 가격 덤핑 전략을 구사할 경우 한국의 가격경쟁력에 심각한 타격이 가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국내 기업들은 원가절감을 위한 혁신활동과 사업 구조조정 등을 통한 여유역량 확보, 환경산업 등 새로운 유망사업 발굴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