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정치권 '낙하산' 기업?

머니투데이 신혜선 기자 2008.06.27 10:44
글자크기

민영화 8년… "정치 외압 고리 끊자" 자성 목소리도

'정치권으로부터는 여전히 자유롭지 못한 KT, 자의일까 타의일까.'

민영화 8년을 향하는 KT (41,800원 ▲100 +0.24%)의 외부 인사 영입 행태를 빗댄 말이다.

기업들이 정치권이나 정부 관료 출신들을 영입하는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관 출신의 강점을 살려 정부와 연결고리를 좀더 견고하게 하고자 하는 의도부터 개인의 역량을 판단한 영입까지. 사실 인사야 '오너'의 몫이니 왈가왈부할 일이 아니다.



하지만 유독 KT는 타 그룹사에 비해 정치권으로 자유롭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외부 인사 영입이나 인사 이동이 정권 교체에 맞물려 일어난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KT가 자의든 타의든 '정치권 출신의 둥지' 노릇을 한다는 비판이다.

과거 국민의 정부 시절 영입된 A 상무, 전 참여 정부 시절 영입된 B, C, D 상무, 그리고 이제 새 정부의 청와대 출신인 E 상무까지. 이 중 일부는 출신이 정치권인지도 모를 정도로 KT 변화를 주도하는 핵심 위치에 있다.



정치권 낙하산 인사지만, 기업에서 제 역할을 하면서 자리하는 경우는 그래도 괜찮다. 그러나 대부분의 '낙하산' 인사는 새 정부 출범에 따라 '아웃'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으니 문제다. '아웃'된 사람의 자리는 영낙없이 새 정치권 '낙하산' 인사들도 메워진다.

최근 단행된 KT 인사가 뒷말이 무성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외압에 의한 특정 인사 빼내기', '살생부 몇 명 중 몇 명이 살아남았다'는 식의 말이 돈다.

KT로선 억울한 측면도 있다. "오너가 있다면 정치권이 함부로 그럴 수 있겠냐"는 항변이다. 공기관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말한다. 오죽하면 남중수 현 사장이 연임될 당시 논리가 '사장 자율 선임'과 '단명 사장을 극복한 책임경영을 위한 선택'이었을까.


이를 두고 일부에선 자성의 목소리도 터져나온다. 결국 KT 스스로 극복해야할 문제라는 것이다. 일부 직원들 사이에서 "차기 노조 위원장은 경상도 출신을 뽑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면 KT가 여전히 시류에 편성하는 공기관적 속성을 못버렸다는 지적을 받을 만하다.

KT 내부 관계자는 "규제 이슈가 있다고 해서, 언제까지 정치권의 힘을 빌릴 것이냐"라며 "정치권 인사 청탁 고리를 끊어내는 것 또한 우리 스스로 극복할 일"이라고 자성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