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회장·행장 다시 겸직하나

반준환 기자 2008.05.07 21:01
글자크기
우리금융지주 최고경영자(CEO)들이 모두 새정부의 재신임을 받지 못하자 지주사 회장과 우리은행장 자리가 다시 통합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주사와 은행의 유기적 관계를 위해선 1명의 CEO가 전체를 총괄하는 것이 낫다는 시각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자회사들의 덩치가 커진 만큼 적절지 않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7일 금융계에 따르면 박병원 우리금융 (11,900원 0.0%)지주회장과 박해춘 우리은행장의 교체가 결정됨에 따라, 직전의 '원톱체제'가 부활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우리금융은 2001년 출범한 이후 원톱과 투톱체제를 번갈아 채택해 왔다. 우리금융지주가 출범했던 2001년 윤병철 회장-이덕훈 행장, 2004년 황영기 회장 겸 행장, 2007년 박병원 회장-박해춘 행장 등이었다.



황영기 회장 시절에는 핵심 자회사인 우리은행의 경영정상화가 최우선 과제였다는 점에서 원톱체제가 구축됐지만, 이후 우리금융 민영화가 화두로 등장하며 자연스레 투톱이 꾸려졌다. 회장은 민영화 추진 및 계열사 총괄관리를 맡고, 우리은행장은 영업에 주력하는 형태다.

이번에 황 전회장 시절의 체제가 재론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지주사 회장에게 특별한 권한이 없다는 점과 함께, 지주회사와 핵심 자회사인 우리은행의 경영방침 충돌시 이를 조율하기 어렵다는 점이 배경으로 꼽힌다.

예컨대 현행 체제로는 지주회사 회장이 은행 경영을 감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최근 경기 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은행이 단기실적주의에 빠지는 것을 제어하기 곤란하다는 지적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회장과 은행장간 이견이 발생하면 사실 조정이 어려운 구조”라며 “은행 입장에선 치열한 시장상황에서 번번이 지주회사와 상의하는 것도 어렵다”고 말했다.

금융계 일각에선 회장이 은행장을 겸직하게 되면 이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우리금융의 상황을 보면 최상의 해법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황영기 회장 시절엔 우리금융 민영화 부담이 없어 회장이 은행경영에만 주력할 수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우리금융이 산업은행, 기업은행 등 국책은행 민영화에 맞물려 돌아가는 상황이라 회장에게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지주회사내 우리파이낸셜 등 자회사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데다, 경남은행과 광주은행 등 자회사들의 매각도 현안으로 등장할 수 있다.

금융계 관계자는 "우리금융 지배구조를 다시 원톱으로 바꾸는 데 의문이 드는게 사실"이라며 "다만 수석부행장 체제를 부활하는 방식 등으로 회장 겸 행장의 업무부담을 줄인다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금융의 최대 주주인 예금보험공사는 아직 논하기 이른 시점이라는 입장이다. 예보의 한 관계자는 "CEO 교체방침이 막 결정돼 우리금융의 경영체제 개선까지 검토한 바 없다"며 "시간을 두고 공식입장을 정리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