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 세계 온난화 책임의 6%

안승광 에코프론티어 연구원 2007.11.09 19:37
글자크기

[백년기업의 조건]<2-2>환경,사회,지배구조 리스크 분석

편집자주 사람 나이 100살엔 혼자 먹고 살기도 힘들다. 그러나 기업은 다르다. 기업은 100살이 넘어도 성장한다. 경제와 사회를 이끈다. 한국의 미래 증시를 이끌 기업의 조건은 무엇일까? 머니투데이는 아시아지속가능투자협회(ASrIA), 에코프론티어와 공동기획으로 국내 대표업종 대표기업의 지속가능성을 9회에 걸쳐 분석한다.

철강산업은 전력산업과 함께 우리 경제의 뼈대가 되는 주요 산업이면서 동시에 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산업이다.

전 세계 철강업종의 지구온난화에 대한 책임은 약 6% 정도로 보고된다. 한국의 대표적 철강기업인 포스코 역시 국내 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10% 정도 책임이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주요 철강기업들은 에너지 절약, 기술개발을 통한 자발적인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초점을 맞춰 대응하고 있다.



포스코, 아르셀로 같은 기업들은 배출권거래, CDM(청정개발체제) 사업 확대 등 교토의정서매커니즘에 의거한 신규 비즈니스활동을 통해 잠재적 위험관리에 주력한다. 신일본제철은 개별기업 간 온실가스 감축기술이전을 위한 파트너십 등 기술교류,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최근 10여년간 철강업체들은 온실가스 배출완화(mitigation)정책을 수립하고 에너지와 원료사용면에서 환경효율성을 상당히 높였다.



하지만 점차 강화되는 환경규제, 고객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의 친환경성에 대한 압력은 그 이상의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도 아직 상당수의 업체들은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등 외부 보고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또, 공개하더라도 정보의 질과 양이 상당히 낮고 적은 편이다.

이는 온실가스배출 규제정책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이다. 미국은 "온실가스 감축을 의무화한 교토의정서 체제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비구속적인 온실가스 감축유도를 주장하고 있다. 일본 역시 온실가스 감축 기술이전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정책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구체적인 탄소정보를 공개하면 타국 경쟁업체에 전략적으로 이용 당할까봐 우려한다.

그렇지만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규제 정책이 지금보다 완화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이러한 상황이 결과적으로 철강업계 전체의 불확실성을 높인다.



철강업종의 리스크는 또 있다. 철강회사들은 대기오염물질인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미세먼지 배출를 관리해야 한다. 사업장 주변의 보건 및 안전에 대한 압력 역시 해소해야 할 리스크다.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철강생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바, 대형 철강사들은 생산성 확대를 모색함과 동시에 환경부하 감소를 위한 기술혁신을 끊임없이 추구하고 있다. 포스코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파이넥스(FINEX)공법이 환경적, 경제적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한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지리적 위치 역시 매우 중요한 변수로 떠올랐다. 진출지역 내 이해관계자 평판이 신규 사업 승인 여부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환경적, 사회적 이슈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인도 역사상 최대 규모의 해외 직접투자로 꼽히는 포스코의 인도 오리사주 프로젝트가 그러한 예다. 이 프로젝트는 성장성과 수익성 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얻고 있다. 반면 포스코가 노출될 환경적, 사회적 리스크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게 나오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