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금리 상승 주택대출이자도 계속 증가

머니투데이 임대환 기자 2007.09.09 14:09
글자크기

대출자 부담 계속 늘어날 듯…대체 기준 금리 도입 주장도 제기

최근 은행들이 자금조달을 위해 양도성예금증서(CD) 발행을 크게 늘리면서 이에 연동된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상승하고 있어 대출자들의 이자부담이 계속 커지고 있다.

금융계 일각에서는 CD금리가 전체 시장의 수급 상황 반영을 넘어 일부 은행들의 CD발행 여부에 크게 흔들리고 있는 만큼 대체 기준 금리를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9일 한국은행과 증권업협회 등에 따르면 CD금리는 지난주말 0.04%포인트가 상승했다. 7일 채권시장에서는 91일물 CD 유통 수익률이 6일보다 0.01%포인트 상승, 연 5.33%를 기록했다.

이는 6년만의 최고기록으로 당분간 이같은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CD금리는 지난 7월 한은이 콜금리를 인상한 뒤 오르기 시작, 연 5.10%을 기록한 뒤 8월 콜금리 추가 인상후부터 본격적인 상승세를 탔다.

올해 초만해도 연 4.00%대 후반 수준이었던 금리 수준이 지난 3일 5.3%를 기록한 이후 거의 매일 0.01%포인트씩 꾸준히 상승했다.

CD금리의 상승으로 이와 연동돼 있는 변동금리부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이번주부터 일제히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은행의 경우 매주 목요일 CD금리를 반영해 그 다음주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산정하고 있어 이번주부터 주택담보대출금리는 연 5.98%~7.78%가 적용된다.

지난주에 비해 0.04%포인트가 상승한 것으로 지난 7월에 비해서는 0.32%포인트나 높아졌다.



대표적인 대출상품인 'KB부동산대출' 금리는 지난주 연 6.07%~7.67%였지만 이번주에는 6.14%~7.74%로 인상될 전망이다.

신한은행도 10일 기준으로 연 6.32%~7.72%로 일주일 전보다 0.04%포인트가 높아졌다. '장기모기지론'은 연 6.10~7.20%에서 연 6.31~7.41%로 0.21%포인트가 오르게 된다.

우리은행도 연 6.22%~7.72%로 일주일전보다 0.04%포인트 상승했고 기업은행의 'IBK장기주택담보대출'금리도 연 7.06~7.52%가 적용된다.



CD금리의 상승세가 가파른 것은 자금이 은행을 이탈해 증권사의 종합자산관리계정(CMA)이나 펀드 등으로 몰리면서 자금조달을 위해 은행들이 CD발행을 늘리고 있기 때문.

지난7월말까지 은행의 실세 요구불 예금과 저축성 예금은 지난해말에 비해 14조1928억원이나 줄어들었다.

문제는 이같은 추세가 앞으로도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한재준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CD금리가 지난 7일 국고채 3년 수익률인 연 5.39%에 근접했기 때문에 상승폭은 제한적이겠지만 하반기 중에도 요구불예금 이탈과 MMF 수탁고 감소세가 지속되면 CD금리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따라 주택담보대출자들의 대출이자 부담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CD금리가 전체 시장의 자금수급 상황보다 일부 대형 은행들의 CD발행 여부에 따라 출렁거리면서 대체 기준 금리를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은행권을 이탈한 자금에 대한 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해 대형은행들이 CD발행을 늘리면서 채권가격은 떨어지고 금리는 오르고 있는 것.

지난 7일의 경우 국고채나 통화안정채권 등 다른 채권금리는 최대 0.05%포인트까지 하락했지만 CD금리만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따라 코리보(KORIBOR)나 통화안정증권 등 다른 금리를 주택담보대출의 지표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코리보는 은행간 거래 때 적용되는 평균금리로 14개 은행이 제시한 금리 가운데 상, 하 각각 3개씩을 제외한 나머지 8개의 평균치를 적용하기 때문에 국민과 신한, 우리, 하나은행 등 일부 은행의 CD발행 수급에 따라 결정되는 CD금리보다 전체 시장의 수급상황을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통안증권도 발행이 정기적이어서 표준화나 신용도에 있어 CD금리보다 낫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은행들이나 금융계에서는 이들 금리가 CD금리를 대체하기는 아직도 미흡하다는 평가가 많다.



한재준 위원은 "대안으로 제기되는 통안채는 통화량 조절 목적으로 발행되기 때문에 기준금리로 적당치 않고 코리보도 시장에서 직접 유통되지 않는 금리라는 한계가 있다"면서 "요구불예금을 제외한 저축성예금도 상당부분 CD금리와 연계되고 있어 당분간 은행수신 조달금리로서의 대표성을 부인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