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2시간 지킨 '기생충', 황금종려상보다 놀랍다

머니투데이 남형도 기자 2019.05.26 17:38
글자크기

스태프들과 '표준계약서' 쓰고 찍은 영화…"이제야 '정상화' 된다"는 봉준호 감독

봉준호 감독이 25일(현지시간) 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 72회 칸국제영화제 폐막식에서 '기생충'으로 최고영예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후 주연배우 송강호와 함께 취재진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뉴시스봉준호 감독이 25일(현지시간) 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 72회 칸국제영화제 폐막식에서 '기생충'으로 최고영예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후 주연배우 송강호와 함께 취재진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뉴시스


"황금종려상 기사보다, 스태프들 표준 계약서 작성하고 영화 찍었단 사실이 더 놀랍다."

영화 '기생충'이 황금종려상을 받았단 희소식이 칸에서 전해진 26일, 영화계와 영화 애호가들 사이에서 나온 반응이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스태프들과 표준근로 계약서를 작성해 근로 시간을 모두 준수하고 만든 영화다. 황금종려상 수상 자체 뿐 아니라 영화 제작 과정까지도 조명 받는 이유다. 영화계 노동 환경이 여전히 열악한 것으로 알려진 터라 더 가치 있는 성과란 평가가 나오는 게 당연할 수 밖에 없다.
26일 서울 시내의 한 영화관에 개봉을 앞둔 영화 기생충 포스터가 전시돼 있다./사진=뉴스1<br>
26일 서울 시내의 한 영화관에 개봉을 앞둔 영화 기생충 포스터가 전시돼 있다./사진=뉴스1
봉 감독은 기생충 제작 과정에서 언론 매체들과 인터뷰하면서 "스태프들과 '표준근로 계약서'를 작성했다"고 밝혔다. 영화 '설국열차'(2013년작)와 '옥자'(2017년작)를 찍으며 미국식 조합 규정에 따라 찍는 걸 배웠다고 했다. 8년간 연습한 덕에, 표준근로 계약에 맞춰 '기생충'을 찍는 게 편했다고 했다.



실제 기생충은 총 77회로 촬영을 모두 마쳤다. 근로시간 감축으로 촬영 횟수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찍은 것. 주 52시간 제도 시행 이전인 설국열차(2013년작)나 옥자(2017년작) 촬영 횟수와 유사한 수준이다. 이에 한 트위터 사용자(@Udumeori_mandu)는 "콘티와 거의 비슷한 촬영에 카메라 동선까지 이미 계산된 상태에서 촬영했다는 얘기"라고 놀라워했다.

봉 감독은 영화제작비 상승에 따른 고충이 있잖느냐는 물음에, "좋은 의미의 상승"이라 답한 바 있다. 이를 '정상화 과정'이라 언급하기도 했다.



스태프 뿐 아니라 배우를 보호하기 위해 CG(컴퓨터그래픽)를 활용했다는 소식까지 더해졌다. 기록적 폭염을 이어가던 지난해 여름, 집 밖에서 아이가 노는 장면을 촬영해야 하는데 너무 위험해 '블루 스크린'으로 처리했단 것. 더위가 가신 뒤 따로 촬영해 합성했다고 한다. 비용을 기꺼이 감수하더라도 배우를 보호하는 방법을 선택한 것이다.
봉준호 감독이 25일(현지시간) 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 72회 칸국제영화제 폐막식에서 '기생충'으로 최고영예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후 수상소감을 밝히고 있다./사진=뉴시스봉준호 감독이 25일(현지시간) 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 72회 칸국제영화제 폐막식에서 '기생충'으로 최고영예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후 수상소감을 밝히고 있다./사진=뉴시스
영화 '기생충'은 이처럼 작품성 뿐 아니라 노동환경 준수 측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영화계에서 장시간 노동이 관행처럼 여전히 남아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2015년 고용노동부 보고서에 따르면 OECD 월평균 노동시간(142.16시간)보다 영화계 노동시간(311.9시간)이 169.74시간 더 길다. 한국 월평균 노동시간(171시간)보다 140.9시간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 시각효과를 맡은 30대 그래픽 제작 노동자 유모씨(33)는 지난 1월26일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 소재 자택서 숨졌다. 서울 동작경찰서에 따르면 그는 새벽 4시30분 집에 왔고, 오전 9시30분 숨진 채 발견됐다. 하루 평균 14시간 넘게, 주 5일 기준 73시간 넘게 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2005년 12월 전국영화노동조합 설립 후 노동환경이 나아졌고, 노동시간을 최대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인 '근로기준법'이 지난해 7월부터 시행됐지만, 고착화된 시스템 문제로 암암리에 잘 지키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