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트럼프 후보의 제약·바이오 관련 주요 정책은 '약가 인하', 중국 견제를 위한 '생물보안법'과 '공급망 다변화' 등이다.
트럼프 후보는 정부가 직접 약가를 통제하지 않고 국제 가격 비교를 통해 제약사의 자발적인 가격 조정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바이오시밀러와 제네릭 시장이 확대된다. 산업연구원은 '미국 대선 시나리오별 한국 산업 영향과 대응 방향'에서 "트럼프 후보는 제네릭과 바이오시밀러의 사용 촉진에 우호적인 입장이라 한국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수요가 최소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미국에서 바이오시밀러를 판매 중인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 등 한국 기업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품목 허가를 받은 바이오시밀러는 14종이다. 지난달 기준으로 FDA가 허가한 바이오시밀러 62종 중 미국(24종) 다음으로 많다.
또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근거로 한 제약사와 협상을 통한 약가 인하 정책이 폐기되면서 다국적 제약사들의 R&D 투자 제한 우려가 덜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신약 가치 하락 우려를 불식시켜 국내 바이오텍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기업 견제를 위해 추진되는 생물보안법은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생물보안법안은 미국 정부가 우려하는 생명공학 기업, 그리고 이들과 거래하는 기업과 계약을 맺거나 보조금을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이다. 여기에는 중국 유전체기업 BGI 지노믹스와 BGI에서 분사한 MGI 테크, MGI의 미국 자회사인 컴플리트 지노믹스, 의약품 CRO(임상수탁)·CDMO(위탁개발생산) 기업인 우시앱텍, 우시바이오로직스가 해당된다. 우시바이오로직스 등이 빠지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 등 국내 CDMO 회사들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하지만 트럼프 후보의 보호무역주의·자국우선주의 강화 기조로 관세가 인상된다면 국내 제약·바이오업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미약품, GC녹십자, 동아에스티, LG화학, SK바이오팜은 국내 개발 신약으로 미국에 진출했는데 관세가 추후 사업의 관건이 될 수 있다. 다만 미국에 공장이 있는 롯데바이오로직스 등은 관세 여파는 비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선 자체 경쟁력을 키워야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제언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약가 인하, 생물보안법 등으로 국내 제약·바이오업체에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인도나 일본 등에도 똑같이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그들과 비교해 기술 확보 등 경쟁력 제고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나서서 한미 간 바이오 동맹관계를 키워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