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7일 오전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대외경제장관회의를 개최하고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영향과 대응방안을 논의한다. 최 부총리는 회의에서 트럼프 공약 분석을 통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내놓을 전망이다.
당장 급한 불은 외환시장이다. 개표가 시작된 6일 원/달러 환율은 장중 1400원에 육박하며 이른바 '트럼프 트레이드'의 모습을 다시 연출했다. 트럼프 공약에 따라 관세 부과와 금리 인하 지연 등이 현실화될 경우 강달러의 재료로 활용될 것이라는 분석 탓이다.
8년 전 트럼프 당선 때도 비슷한 현상이 발생했다. 선거 결과가 나온 2016년 11월9일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14.5원 오른 1149.5원에 마감했다. 당시 장중 저점(1129.0원)과 고점(1157.3원)의 차이가 30원에 육박할 정도로 변동성은 컸다. 외환당국의 구두 개입성 발언도 나왔다.
정부는 2016년 선거 결과가 나오자 부총리 주재의 경제현안점검회의를 개최하고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 경제적 영향, 향후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 특히 주요 회의체의 급을 격상하는 등 트럼프 1기 행정부 출범의 불확실성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이번에도 크게 다르지 않게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부처들은 외부에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다소 부담스러워하는 눈치다. 트럼프가 공약한 10~20%의 보편적 기본관세 등은 정부가 마땅히 대응할 수단조차 없는 조치다. 전기차와 태양광 등을 지원하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폐기될 가능성도 커졌다.
트럼프의 중국 견제 역시 셈법을 고심할 수밖에 없다. 트럼프가 노골적으로 중국 견제에 나설 경우 최대 교역국인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우리 정부의 입장이 난처해질 수밖에 없다. 현재로선 수출 시장 다변화라는 원론적인 해법 외에는 마땅한 카드가 없다.
최 부총리는 지난달 28일 국정감사에서 "미국 대선에서 누가 승리를 하더라도 한미동맹이 굳건하기 때문에 그 기반 위에서 정부 간 여러 노력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수출시장 다변화 또는 중국 시장 변화에 따라 대응할 수 있는 내용을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와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