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중앙회가 디지털에 취약한 고령층과 소상공인을 위해 전국 인구감소지역에서도 460여개의 점포를 유지하며 면대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새마을금고는 인구감소지역에서 전체 금고(3269개)의 14.1%에 해당하는 461개 점포를 운영하며 포용금융을 실천하고 있다. 포용금융은 저소득층·고령층·저신용자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비롯해 모든 사람이 소외되지 않고 금융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말한다.
새마을금고의 점포가 있는 인구감소지역은 경북 영천(19개), 전북 남원(14개), 경남 남해(10개), 전남 영암(10개) 등 기초지방자치단체 87곳으로, 행정안전부가 인구감소지역으로 선정한 곳이다.
새마을금고는 인천시 옹진군, 강원도 정선군을 제외한 87개 인구감소지역에서 점포를 운영 중이다. 인구 감소세가 가파른 경북 영천에선 19개의 점포를, 전북 남원·경남 남해에선 각각 14개·10개의 점포를 운영한다. 전남 영암에도 10개의 점포가 있다.
국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은 인구감소지역 89곳 중 절반정도의 지역에서 점포를 운영하지 않고 있어 해당 지역 주민이 은행을 이용할 때마다 큰 불편을 겪고 있으나 새마을금고 점포가 빈자리를 메우며 고령층과 소상공인의 금융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 광역시·도별 새마을금고 지점 분포현황을 살펴보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비중은 34.2%에 그친다. 반면 4대 은행은 점포의 약 70% 정도가 수도권 지역에 집중돼 있다.
4대 은행은 최근 5년 새 모바일뱅킹 활성화로 점포 운영에 들어가는 고정비용을 줄이기 위해 전체 점포의 약 20%를 축소했다. 모바일뱅킹에 취약한 고령층이나 지역 소상공인 등이 대면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기회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고령층의 금융 소외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다.
반면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인출 사태 이후 경영합리화를 위해 금고간 합병을 추진하면서도 점포수는 유지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금고수는 총 9개 감소했지만 점포수는 지난해 6월말 3260개, 올해 6월말 3269개로 줄지 않았다. 새마을금고의 운영 효율성을 제고하면서도 모바일뱅킹 등 디지털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고령층을 위해 전체 점 수를 줄이지 않는 방향으로 합병을 추진한 결과다.
새마을금고 주 고객층의 연령·지역·성별 분포를 살펴봐도 50~70대 비수도권 여성이 가장 많다. 전체 고객 2356만6486명 중 50대 이상 고객이 차지하는 비중은 57.8%(1361만8972명)에 이른다.
새마을금고가 점포 운영을 통해 지방 고령층을 겨냥한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한 사례도 적지 않다. 2021년부터 지난해말까지 3년간 새마을금고 고객은 금고 직원의 도움으로 총 313건의 보이스피싱 범죄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총피해 예방액은 93억7000만원이다. 최근에도 광주 남구 무진새마을금고에서 금고 직원이 경찰에 신고해 3000만 원의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할 위험에 처했던 70대를 구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인구감소 지역의 버팀목 역할을 하는 영세금고의 경영 유지를 위해 다양한 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소규모 금고가 도시 금고와 자율적으로 협약을 맺어 교류하도록 하는 상생 네트워크 사업이 그중 하나로, 도시 금고가 소규모 금고에서 판매하는 지역 특산품을 구매하거나 공제상품 판매 등 영업에 도움이 되는 노하우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상부상조·상호협동 정신에서 출발한 새마을금고는 앞으로도 고객 가까이에서 따뜻한 금융을 펼쳐 지역사회 공동체가 유지되고 지역경제가 풍성해질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