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생 3명 중 1명인데"..N수생 사교육비 통계 잡힐까

머니투데이 유효송 기자 | 2024.09.18 07:21

교육부 내년 N수생 사교육비 시범조사
학령인구 감소 응시생 줄지만 N수생 4년연속 증가
대형학원 매출↑...N수생 통계는 없어 '사각지대'

2000년도 이후 대학수학능력시험 연도별 응시자/그래픽=윤선정
정부가 내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등에 두 번 이상 도전하는 이른바 'N수생' 사교육비 시범조사에 나선다. N수생 증가로 사교육비가 적잖이 불어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통계가 없다는 문제의식때문이다. 학령인구 감소로 고3 수능 응시자 수는 줄어들고 있는 반면 N수생 규모는 올해 2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18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교육당국은 올해 N수생 사교육비 통계 개발과 조사에 나선다. 통계 모델 개발에 1억원, 내년 시범조사에 1억원 등 모두 2억여원을 투입한다. 교육부는 지난 4월 한 대학 산학협력단에 'N수생 사교육비조사 모델 개발 용역'을 의뢰했다. 올해 말까지 연구를 맡긴 뒤 개발된 조사 체계를 검토해 내년 N수생 사교육비 시범조사에 직접 나선다는 목표다.

교육부가 사교육비 통계 개발에 나선 것은 최근 수능에 응시하는 N수생이 늘면서 이들이 수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비용이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1994년 수능 도입 이후 고등학교 재학생 출신 응시생은 2000학년도에 63만1745명으로 최고치를 찍고 2025학년도 34만777명으로 반토막이 났다. 같은 기간 졸업생 출신 응시생도 25만64명에서 올해 16만1784명으로 35%가량 줄었다. 학령 인구 감소 탓이다. 반면, 검정고시생 등은 이 기간 1만4313명에서 2만109명으로 되레 늘었다. 검정고시 등 수험생이 2만명을 넘은 건 수능 2년 차인 1995학년도(4만2297명) 이후 30년 만에 처음이다.

특히 졸업생 출신 응시생은 2021학년도부터 최근 4년간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는 검정고시생을 합한 N수생 숫자가 2004학년도 수능(2003년 11월·19만8025명) 이후 21년 만에 가장 많았다. 저출산 기조로 학령인구는 수직 하락하고 있는 반면 N수생은 늘어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전체 수능 응시자 중 N수생 비중이 3분의 1에 달할 정도로 높아졌지만 이들이 사교육비를 얼마나 쓰는지는 조사된 바 없다. 교육부가 매년 통계청과 함께 발표하는 초·중·고 사교육비 통계에도 N수생은 빠져 있다.

N수생의 대입 재도전에는 적지 않은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수도권 재수학원의 월 수강료는 월 100만원대다. 여기에 교재비와 식대, 셔틀버스 등 교통비를 포함하면 200만~300만원이 들어간다는 게 업계 추정이다. 기숙학원 형태라면 비용이 더 추가된다. 보통 재수학원이 수능 정시발표 쯤인 1~2월 개강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N수생들은 11월 중순 수능까지 10개월 남짓 최소 2000만원 이상의 학원비를 쏟아 붓는 것으로 추산된다.


대형 학원들의 매출도 증가 추세다. 메가스터디교육의 매출액은 2022년 8359억 원에서 지난해 9352억 원으로 늘어 올해 '1조원 클럽' 가입이 예상된다. '사교육 1번지' 서울 대치동에 위치한 학원시장의 신흥 강자 시대인재를 운영하는 법인 하이컨시도 같은 기간 2747억원에서 3605억 원으로 매출이 늘었다. 내년 3월 경기 용인시에 전국 최대 기숙학원을 여는 등 사업 확장도 진행하고 있다.

다만 조사 모집단이 될 N수생의 개념 자체가 명확하지 않은 데다 조사 방식을 개발하는 것도 쉽지 않아 실제 통계 작성까지는 만만치 않은 작업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대상이 명확한 초·중·고 사교육비의 경우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하면 되지만 N수생은 사정이 다르다. 학비를 학부모가 부담할 수 있어도 조사 대상이 대부분 성인이라 상황이 다르다.

모집단 중 표본을 잡기도 쉽지 않다. 통계는 모수가 정해지면 임의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표본을 표출해야 한다. 그런데 반수생과 대학 재학 중 수능에 응시하는 재학생, 직장인 수험생 등을 모두 N수생으로 봐야할지 개념 정의부터 쉽지 않다. 국가 관리 대상이 아닌 사교육 기관에 협조를 요청하기도 쉽지 않아 통계 조사원이 방문할 기관도 명확하지 않다. 집에서 혼자 온라인강의 등을 수강하는 N수생은 조사 대상으로 잡기 어렵다.

교육부는 우선 샘플링 조사와 설문조사 등 다양한 분석 방법을 활용해 조사 모델을 개발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조사의 신뢰성에 따라 결과를 공개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정부는 2017년 유아 사교육비 시험조사를 했으나 결과는 공개하지 않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올해 N수생 통계 조사 방식을 개발하고 내년 시범조사에 나설 것"이라며 "일반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와 달리 난관이 있는 상황이지만 신뢰도가 있고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다양한 방향을 열어 놓고 고민 중"이라고 했다.

베스트 클릭

  1. 1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2. 2 '6만원→1만6천원' 주가 뚝…잘나가던 이 회사에 무슨 일이
  3. 3 바람만 100번 피운 남편…이혼 말고 졸혼하자더니 되레 아내 불륜녀 만든 사연
  4. 4 20대女, 하루 평균 50명 '이 병'으로 병원에…4050은 더 많다고?
  5. 5 밤중 무단횡단하다 오토바이와 충돌 "700만원 달라"... "억울하다"는 운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