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원전·재생e 늘자 온실가스 4.4% 줄었다…경기부진도 영향

머니투데이 세종=최민경 기자 | 2024.09.10 16:38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2022년보다 4.4% 감소한 가장 큰 배경은 원전, 재생에너지 등 무탄소에너지 확대다. 제조업 부진 역시 산업 부문 배출량 감소에 영향을 줬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10일 발표한 '2023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 6억2420만톤 중 전환(전기·열생산) 부문 배출량은 32.1% 규모인 2억40만톤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전환 부문 배출량 대비 7.6%(1650만톤) 감소한 수치다.

전환 부문 발전량 감소와 함께 무탄소에너지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총 발전량은 587TWh(테라와트시)로 전년 대비 1.2% 감소했다. 철강과 전자·통신 분야 등의 전력수요 감소로 발전량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원전의 발전량이 2.5%(4.4TWh) 늘고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 발전량도 6.6%(3.5TWh) 증가하면서 전환 부문 배출량 감축을 이끌었다.

정은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배출량 감소를 견인한 것은 발전 부문"이라며 "발전 부문에서 1650만톤이 줄었는데 생산도 1% 줄어 생산 감소 효과도 조금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환 부문 1650만톤 중에서 약 200만톤은 생산 감소로 줄어든 게 맞지만 나머지 부분은 전부 석탄에너지를 원전과 신재생으로 바꾼 것 때문에 줄었다"며 "대부분의 배출량의 감소는 정부의 노력에서 온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출량 중 38.2%를 차지하는 산업 부문도 전년대비 배출량이 3%(730만톤) 감소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등의 공정가스저감시설 확대와 석유화학·시멘트 등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의 경기둔화로 인한 생산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정 센터장은 "산업 부문에서도 배출량 감소 중에서도 500만톤은 경기 때문이지만 200만톤은 노력 덕분"이라며 "전자산업 같은 경우는 반도체생산지수는 한 2% 정도 감소했는데 불화온실가스(F-gas)를 중심으로 한 배출량은 한 250만톤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건물 부문도 따뜻한 겨울과 도시가스 요금 인상으로 인한 사용량 감소로 배출량이 전년에 비해 7%(330만톤) 감소했다.

수송 부문은 주행거리 감소 및 무공해차 보급 확대로 1%(90만톤), 농축수산 부문은 벼 재배면적 감소 등 영향으로 0.1%(10만톤), 폐기물 부문은 매립량의 지속적인 감소로 1.3%(20만톤) 등 소폭 줄었다.

특히 정부는 2022년부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매해 증가했음에도 배출량이 감소하는 탈동조화 경향이 뚜렷하게 보인다고 평가했다. 2023년 GDP 당 배출량은 199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312.8톤/10억원)을 보였다.

정 센터장은 "(전체 탄소 배출량 감축 중 노력의 비율은) 노력이 7이고 경기가 3 정도, 7:3이라고 생각한다"라며 "산업 부문 배출량 감축도 경기가 나빴던 이유도도 있겠지만 경기 플러스 노력, 전반적인 탈동조화 추세가 가속화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경로 달성 여부에 대해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정 센터장은 "2023년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당히 줄어서 NDC 경로에 들어와 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추세가 계속 지속되려고 하면 노력이 필요하다"며 "수송·농축수산 폐기물 등은 감축량이 원래도 그렇게 크지 않지만 감축량이 감소하는 추세가 조금 늦기 때문에 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2. 2 '6만원→1만6천원' 주가 뚝…잘나가던 이 회사에 무슨 일이
  3. 3 20대女, 하루 평균 50명 '이 병'으로 병원에…4050은 더 많다고?
  4. 4 바람만 100번 피운 남편…이혼 말고 졸혼하자더니 되레 아내 불륜녀 만든 사연
  5. 5 밤중 무단횡단하다 오토바이와 충돌 "700만원 달라"... "억울하다"는 운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