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과학기술인상에 '불안·경쟁의 메커니즘' 밝힌 이성중 서울대 교수

머니투데이 박건희 기자 | 2024.09.04 12:00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선정된 이성중 서울대 치의과학과 교수 /사진=과기정통부

불안감과 경쟁심이 뇌의 신경교세포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최초로 증명한 이성중 서울대 치의과학과 교수가 9월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이 교수를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는 상이다.

연구재단은 이 교수가 뇌를 구성하는 신경교세포에 의한 정서 및 사회성 행동 조절의 메커니즘을 규명해 뇌과학 연구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신경교세포는 신경세포(뉴런)와 함께 뇌 속 신경계를 구성하는 조직이다. 하지만 지난 100년간 뇌의 작동원리는 주로 신경세포와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분석됐다.


이 교수는 뇌 속에 신경세포보다 훨씬 더 많은 수로 존재하는 신경교세포에 주목했다. 신경교세포의 생리적 기능을 연구하면 신경세포만으론 규명할 수 없던 생명체의 경쟁심, 우월행동 등을 뇌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이 교수 연구팀은 생쥐의 뇌를 분석해 전전두엽에 분포하는 신경교세포의 한 종류인 '성상교세포'의 활동성 정도에 따라 우월행동의 크기와 양상이 조절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우월행동은 동물이 무리 내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행하는 모든 행동을 말한다. 연구팀은 생쥐의 사회적 서열이 이같은 우월행동의 결과로 결정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팀이 우월행동을 하는 생쥐의 뇌 영역을 모니터링한 결과, 경쟁 과정에서 전전두엽 성상교세포의 칼슘 활동성이 실시간으로 증가했다. 또 불안한 환경에서는 뇌 속 해마 영역의 성상교세포가 활성화되며 일종의 '항불안' 기능을 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2023년, 2022년 게재됐다.

이 교수는 "뜻밖에 큰 상을 받게 돼 무척 영광스럽다"며 "그리 좋지 않은 연구환경에서 묵묵히 연구를 수행해 준 실험실 학생들과 연구원들에게 고맙단 말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연구로 우울증 발병과 신경교세포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2. 2 바람만 100번 피운 남편…이혼 말고 졸혼하자더니 되레 아내 불륜녀 만든 사연
  3. 3 '6만원→1만6천원' 주가 뚝…잘나가던 이 회사에 무슨 일이
  4. 4 20대女, 하루 평균 50명 '이 병'으로 병원에…4050은 더 많다고?
  5. 5 밤중 무단횡단하다 오토바이와 충돌 "700만원 달라"... "억울하다"는 운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