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세]바이오, 미래성장산업 대표주자의 조건

머니투데이 김도윤 기자 | 2024.07.26 05:20

우리가 보는 세상

편집자주 | 뉴스현장에는 희로애락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기사로 쓰기에 쉽지 않은 것도 있고, 곰곰이 생각해봐야 할 일도 많습니다. '우리가 보는 세상'(우보세)은 머니투데이 시니어 기자들이 속보 기사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뉴스 속의 뉴스' '뉴스 속의 스토리'를 전하는 코너입니다.

이승주 오름테라퓨틱 대표(오른쪽)가 지난 18일 '혁신신약살롱 판교'에 참석해 회사 설립과 기술수출 과정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정기종 기자
코스닥 시장이 기술특례상장 제도를 도입한 지 올해가 20년째다. 현재까지 226개 기업이 기술특례 요건을 통해 코스닥에 상장했고, 이 중 절반 가량인 112개(49.6%)가 바이오 기업이다. 진단이나 의료기기, 헬스케어와 관련한 기업까지 포함하면 이 비중은 더 커진다.

그동안 100개가 넘는 바이오 기업이 기술특례로 상장했지만 성과는 미미했다. 기술특례 1호로 2005년 상장한 헬릭스미스는 신약 개발에 성공하지 못하고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다. 또 일부 기술특례상장 바이오는 경영진의 불법 행위나 도덕적 해이 등으로 주주들에 막대한 피해를 줬다. 지금도 유동성 등 문제로 관리종목 지정이나 상장폐지 위기에 빠진 바이오가 한둘이 아니다.

주식시장 투자자 사이에서 '바이오는 다 사기 아니냐'란 비판이 나온 이유다. 대다수 바이오 기업은 IPO(기업공개) 때 짧게는 1~2년, 길게는 3~4년 안에 신약 파이프라인 기술수출 등으로 이익을 내겠다고 약속한다. 하지만 이 약속을 지킨 기업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많은 바이오 기업이 임상 연구 실패나 지연 등 이유로 상업화 성과를 내지 못했다.

최근 분위기가 바뀌었다. R&D(연구개발) 경쟁력을 갖춘 여러 바이오 기업이 동시다발적으로 글로벌 기술수출에 성공하며 실력을 뽐내고 있다. 리가켐바이오(옛 레고켐바이오)와 에이비엘바이오, 에이프릴바이오 등이 대형 글로벌 기술이전 계약을 맺으며 K-바이오의 저력을 입증했다. 알테오젠은 미국 머크(MSD)와 '키트루다SC'를 개발하기 위한 기술이전에 성공하며 기업가치가 급등했다.

지금 한국거래소에서 상장심사를 받는 오름테라퓨틱은 지난해 956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지난해 11월 글로벌 빅파마(대형제약사) BMS(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와 총 1억8000만달러(당시 약 2336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기 때문이다. 이 기술이전은 계약금만 1억달러(당시 약 1298억원)로 업계에서 화제가 됐다. 이달엔 미국 버텍스파마슈티컬즈를 대상으로 최대 1조3000억원 규모의 기술이전에 성공했다. 오름테라퓨틱 같은 기업이 많아질수록 K-바이오에 대한 신뢰는 두터워질 수 있다.


이제 국내 바이오 업계가 스스로 사기꾼이란 오명을 벗고 미래성장산업의 대표주자로 거듭날 때다. 2005년 기술특례상장 제도 도입 뒤 수많은 바이오 기업이 공모시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신약 후보물질의 임상 연구를 진행했다. 그동안 우리 바이오 업계가 쌓은 연구 및 임상 경험과 노하우, 우수 연구인력 등 자산이 적지 않다. 실패도 많았지만,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옥석이 가려지기도 했다.

오는 9월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하가 예상된다. 성장산업인 바이오에 대한 주식시장의 관심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 시장의 유동성이 개선되면 다양한 파이프라인의 임상 연구에 탄력이 붙을 수 있다. 우리 바이오 기업이 마음껏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는 셈이다. K-바이오가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우리 산업의 미래 먹거리로 우뚝 서길 기대한다.

베스트 클릭

  1. 1 "박지윤 그동안 어떻게 참았냐" "최동석 막말 심해"…누리꾼 반응 보니
  2. 2 [단독]"막걸리 청년이 죽었다"…숨진지 2주 만에 발견된 30대
  3. 3 "제시 일행 갱단 같다" 폭행 피해자 주장에…재조명된 박재범 발언
  4. 4 최동석 "남사친 집에서 야한 영화 봐"…박지윤 "성 정체성 다른 친구"
  5. 5 "어머니 아프다" 돈 빌려 도박한 이진호…실제 모친은 '암 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