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최적화' 스마트도시 만든다…'천안·광명·태백·경산' 4곳 선정

머니투데이 이용안 기자 | 2024.06.23 11:00
정부가 지역 특성에 따라 최적화 도시 서비스를 갖춘 스마트도시 조성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2024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공모 결과 거점형은 충남 천안시 1곳을, 강소형은 경기 광명시, 강원 태백시, 경북 경산시 등 3곳을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은 지자체와 민간기업 등이 힘을 모아 기존 도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획기적인 서비스를 찾고 만들어 나가는 사업이다.

올해는 거점형, 강소형 등 2개 유형으로 나눠 지난달 공모 접수를 받았다. 거점형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 솔루션을 개발해 스마트도시 확산을 이끌어 갈 거점 조성을 목표로 한다. 강소형은 기후위기와 지역소멸 등 환경변화에 대응을 강화하기 위한 도시를 만드는 사업이다.

거점형에 선정된 천안시는 3년간 국비 160억원(지방비 1:1 매칭)을 지원받는다. 천안시는 충청권 메가시티를 견인할 스마트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해 역세권 혁신지구, 스마트 그린산업단지, 캠퍼스 혁신파크 일원을 민간 친화적 스마트도시로 조성하고자 한다.


강소형에 뽑힌 광명시(기후위기 대응형)와 태백시(지역소멸 대응형), 경산시(지역소멸 대응형)는 3년간 국비 80억원(지방비 1:1 매칭)을 받는다. 먼저 광명시는 광명역세권지구에 교통, 에너지, 재해·안전 스마트서비스를 데이터 기반으로 연계하는 탄소중립 도시를 만들 계획이다. 전기이륜차 배달문화 밸류체인(가치사슬), 기업대상 업무용 전기차 공유와 이상기후 대응을 위한 AI(인공지능) 분석 재해 예측 등 서비스를 구현한다.

태백시는 급격한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광산업에서의 혁신기술을 지역특화산업으로 활성화해 강소도시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경산시는 청년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경제 쇠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산 임당 유니콘파크, 청년지식놀이터 등 기존의 도시 인프라를 활용해 첨단산업 도시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사업을 통해 개발되는 솔루션을 오픈소스로 공개해 광역지자체에 구축 중인 데이터허브와 연계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모든 도시데이터가 연결된 플랫폼에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서비스를 창출하는 '플랫폼도시' 구현을 위한 환경 조성에 힘쓰겠다는 계획이다.

베스트 클릭

  1. 1 '청담동 주식부자' 이희진 결혼 상대는?…걸그룹 '리브하이' 레아
  2. 2 "비싸도 살 수만 있다면" 15시간 줄 섰다…뉴욕 한복판에 수백명 우르르[뉴스속오늘]
  3. 3 '사생활 논란' 허웅 측, 故이선균 언급하더니 "사과드린다"
  4. 4 '10조 자산가' 서정진 "부자라고? 만져본 적 없는 돈…난 평범한 사람"
  5. 5 오물만 들어 있는게 아니었어?...북한이 띄운 풍선 만지면 벌어지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