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로 품질검사하는 '어쿠스틱 AI'…현대모비스, 생산현장에 적용

머니투데이 강주헌 기자 | 2024.06.19 11:00
현대모비스는 MDPS를 생산하는 창원공장에 소리를 활용해 품질검사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구축했다. 컨베이어를 지나가는 제품을 어쿠스틱 AI 검사기가 판별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소리를 활용한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해 생산 현장에 적용한다. 제품 검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소리를 듣고 인공지능이 품질 정확도를 판정하는 차세대 신기술이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모터제어 파워스티어링(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을 생산하는 창원공장에 어쿠스틱 AI(인공지능) 기반 검사시스템을 시범 구축했다고 19일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수년간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양한 신기술 개발에 공을 들여왔으며 품질관리에 특화된 생산기술을 선보이게 됐다.

어쿠스틱 AI는 제조업 분야에선 아직 적용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소리를 매개체로 하는 신기술이다. 특정 소리에 의미를 부여하고 적절한 판단을 내리도록 돕는 알고리즘 개발이 핵심이다. 생성형 AI가 일반인 대상의 범용성을 강조한 기술이라면 어쿠스틱 AI는 스마트팩토리에 적합한 산업용이다. 단시간에 많은 양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창원공장에 구축한 검사시스템은 1초에 한대씩 품질을 검사할 수 있다. 현재 창원공장에서는 연간 130만대 규모의 MDPS를 생산하고 있다. 공정은 부품체결을 비롯해 진동과 소음검사 등 총 23개의 과정으로 이뤄진다. 이 중 소음검사는 MDPS에 실제 동력을 연결해 실시하고 있다. MDPS에 달린 모터가 회전하며 발생하는 소리는 일정한 물결 모양의 파형을 그리는데, 파형이 튀거나 높낮이가 다른 미세한 영역을 인공지능이 판단하는 방식이다. MDPS는 스티어링휠(핸들)을 통해 조향성능을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안전부품이기 때문에 더욱 꼼꼼한 품질확인 작업이 필요하다.


현대모비스는 창원공장을 시작으로 어쿠스틱 AI 검사시스템을 다른 부품 공정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제동장치 등 움직임에 따라 필연적으로 소음이 발생하는 부품들이 우선 대상이다. 선도적으로 개발 도입한 어쿠스틱 AI를 통해 유의미한 데이터를 지속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인공지능 모델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학습한 인공지능의 정확성도 더욱 향상될 전망이다.

현대모비스 DT추진실장 최낙현 상무는 "자동차 분야는 물론 글로벌 제조산업 전체에서도 선도적인 공정 혁신 사례"라며 "생산기술은 물론 연구개발과 업무환경 개선에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차별화된 신기술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오물만 들어 있는게 아니었어?...북한이 띄운 풍선 만지면 벌어지는 일
  2. 2 "비싸도 살 수만 있다면" 15시간 줄 섰다…뉴욕 한복판에 수백명 우르르[뉴스속오늘]
  3. 3 '사생활 논란' 허웅 측, 故이선균 언급하더니 "사과드린다"
  4. 4 '10조 자산가' 서정진 "부자라고? 만져본 적 없는 돈…난 평범한 사람"
  5. 5 마이클 잭슨, 사망 당시 '7000억' 빚더미…"장난감에 큰 돈 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