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높은 생활비 탓…물가상승률 둔화 체감 못 해"

머니투데이 김주현 기자 | 2024.06.19 05:20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한국은행 별관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인플레이션은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생활비 수준은 통화정책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를 통해 "우리나라의 식료품과 의류 등 필수소비재 가격은 주요국에 비해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어 생활비 부담이 큰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우리 인플레이션이 지난해 초 5%에서 지난해 2.7%로 낮아졌지만 국민들께서 피부로 잘 느끼시지 못하는 이유"라며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생활비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어떤 구조개선이 필요한지 고민해 볼 때"라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에 대해서는 둔화 흐름이 이어진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둔화 흐름이 올해 상반기에도 이어지고 있다"며 "미국과 유로지역은 불확실성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물가상승률은 떨어지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1~5월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9%로 지난해 하반기(3.3%) 대비 0.4%포인트(p) 낮아졌다. 2~3월에는 농산물 가격, 국제 유가, 원/달러 환율 상승 등 영향으로 3%를 웃돌았지만 4월 이후 농산물 가격 오름세가 둔화되면서 3% 아래로 내려왔다.


같은 기간 근원물가 상승률(2.4%)도 지난해 하반기(3%) 대비 0.6%p 낮아졌다. 서비스 물가를 중심으로 상승모멘텀 둔화세가 이어지면서 지난달 기준 2.2%까지 내려왔다.

하반기 물가 전망과 관련해 한은은 "최근 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 등의 둔화 흐름 등을 볼 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월 전망경로대로 완만한 둔화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반기중에는 2.5%를 밑도는 수준으로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창용 총재는 "향후 물가는 최근 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 둔화를 감안할 때 지난 5월 전망과 부합하는 완만한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만큼 물가가 예상대로 목표에 수렴해 나갈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국내 경제는 5월 전망에 대체로 부합하는 성장흐름을 보일 것"이라면서도 "다만 수출과 내수 간 회복세에 차이가 있어 내수 측면에서의 물가압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2. 2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3. 3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
  4. 4 "손흥민 이미지…20억 안부른 게 다행" 손웅정 고소 부모 녹취록 나왔다
  5. 5 강제로 키스마크 남겼다?…피겨 이해인, 성추행 피해자 문자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