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바이오 강국 만들자"…13개 공공 연구기관 협의체 출범

머니투데이 배한님 기자 | 2024.06.18 16:30

정부가 첨단 바이오 분야 글로벌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바이오분야 공공연구기관 '원팀(One Team)'을 결성했다. 기관별로 나눠진 예산이나 운영 목표 문제 등 연구 한계를 극복하고 바이오 전 분야를 아우르는 협력연구 주제를 발굴해 바이오 핵심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18일 서울 노원구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바이오분야 13개 공공연구기관이 참여하는 '바이오분야 공공연구기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업무협약서(MOU)를 체결했다. 협의체는 최근 정부가 발표한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 국가 전략에 따라 국가 바이오 연구기관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미 해외 주요국은 첨단바이오 난제 해결 등 도전적인 연구를 위해 기관 간 협력 성과를 내고 있다. 미국 국립인간게놈연구소(NHGRI)를 중심으로 2022년 결성된 '텔로미어 투 텔로미어(T2T)'는 세계 33개 기관 컨소시엄으로 구성됐다. T2T는 인간 DNA 염기 약 2억쌍을 새롭게 밝혀내면서 난치암·치매 등 유전자 변이 관련 질환의 원인 규명을 위한 발판을 만들었다.

협의체에 참여하는 공공연구기관은 △국립보건연구원 △국립암센터 △안전성평가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뇌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등 13개 기관이다. 간사 기관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맡았다. 여기에 대통령실과 과기정통부 등 정부가 참여해 상호 소통 및 협업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한다.

이 기관들은 바이오분야 핵심 연구 인력 약 2700명을 보유하고, 올해를 기준으로 바이오 분야 국가 R&D(연구·개발) 예산 약 6300억원을 담당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유관 공공연구기관뿐만 아니라 국립보건연구원·국립암센터 등 보건복지부 유관 공공연구기관도 참여해 바이오 전 분야를 아우를 수 있도록 구성했다. 정부는 향후 수요 및 필요에 따라 협의체 참여기관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협의체는 국가 정책에 맞춰 첨단바이오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협력 연구개발 사업을 기획하고, 연구 시설 및 장비 공동 활용, 핵심 인재 육성, 바이오 데이터 공동 생산 및 활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관 간 협력 방안을 도출한다. 아울러 정부와 협력해 바이오 분야 미래 아젠다를 발굴하고 국가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싱크탱크 역할도 수행한다. 연구기관의 주요 연구내용 및 연구성과도 공유할 예정이다.

협의체는 오는 7월 중으로 워킹그룹 구성 등 협력 분야를 결정하고 첨단바이오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프로젝트를 연말까지 발굴할 계획이다.

협의체 위원장인 서판길 한국뇌연구원 원장은 "이번 협의체 구성으로 바이오 분야의 13개 공공연구기관이 서로 소통과 협력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협의체 활동을 통해 공공연구기관이 맡은 소임을 다하면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베스트 클릭

  1. 1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2. 2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3. 3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
  4. 4 "손흥민 이미지…20억 안부른 게 다행" 손웅정 고소 부모 녹취록 나왔다
  5. 5 강제로 키스마크 남겼다?…피겨 이해인, 성추행 피해자 문자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