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보다 살기 좋은 '과천시' 전체 1위..생활안전·주거환경 '최고'

머니투데이 김지현 기자, 기성훈 기자 | 2024.06.21 04:10

[2024 사회안전지수-살기 좋은 지역]②서울 서초·강동구 2·3위..경기 하남·안양시가 4·5위

수도권 사회안전지수 톱10/그래픽=윤선정
수도권에서 가장 살기 좋은 지역은 '경기 과천시'였다. 생활안전·주거환경 분야에서 다른 지역들과 점수 차이를 크게 벌리면서 지난해 전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평가에 이어 전체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켜냈다.

20일 머니투데이와 케이스탯 공공사회정책연구소,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성신여대 데이터사이언스센터가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전국 시·도별 '2024 사회안전지수(Korea Security Index 2024)-살기좋은 지역'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대상은 수도권 62개 시·군·구, 광역자치단체 기준으로는 전국 17개 시·도다.


과천시 정량·정성평가 1위..주민 80% "10년 후에도 살고 싶어"


과천시 사회안전지수는 66.04점으로 수도권 내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정량지표(65.83점)와 정성지표(65.04점) 모두 전체 1위에 올랐다. 두 지표가 동일하게 60점대를 넘은 건 과천시가 유일하다. 잘 갖춰진 인프라에 주민들도 만족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나온 '경기도 사회조사 보고서'에서도 과천시는 '10년 후에도 현재 거주하는 시·군에 살고 싶다'고 한 주민들의 비율이 80.3%로 가장 높았다.

특히 주거보육·문화여가 등의 지표로 구성된 주거환경 분야에서 73.98점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 실제로 과천시는 과천시민회관과 렛츠런파크, 과천문화원 등 풍부한 지역 인프라를 바탕으로 아이들이 운동·예술·과학 등 전인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있다는 평가다.

치안·소방·교통안전 등의 지표에서 골고루 좋은 평가를 받은 생활안전 분야에서도최고점 (72.84점)을 기록했다. 관할 면적이 35.9㎢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크지 않지만 정부청사 근처에 경찰서와 소방서가 갖춰져 있는데다 처음부터 행정·계획도시로 개발되면서 유흥 시설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도 장점이다. 경제활동 분야(66.38점) 2위, 건강보건 분야(56.26점)는 28위에 각각 올랐다. 인접한 평촌신도시에 한림대 성심병원이 있어 큰 불편은 없으나 관내 종합병원이 없는게 점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024년 수도권 사회안전지수 1~30위/그래픽=윤선정


서초·강동구 건강보건 인프라로 최상위권..하남시 경제활동 높은 점수


서울 서초구는 사회안전지수가 60.97점, 강동구는 60.93점으로 각각 2·3위에 올랐다. 빅5 상급종합병원인 강남성모병원이 있고 개인 및 특화 병원 등이 많은 서초구는 의료환경과 의료충족, 건강상태 등의 지표가 들어간 건강보건 분야에서 전체 2위를 차지했다. 무엇보다 경제활동 분야에서 10위에 올라 서울 지역에서 유일하게 톱(TOP) 10에 이름을 올렸다.

서초구와 점수차가 0.04점에 불과한 강동구 역시 건강보건 분야에서 4위를 기록했고, 생활안전 분야에서도 8위를 차지했다. 중앙보훈병원과 강동경희대병원, 강동성심병원 등 대학병원급 의료기관이 3곳이나 있고, 10만명 이상 수용 가능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어 안전한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 뒤를 이어 4·5위는 경기 하남시(60.60점)와 안양시(59.58점)가 차지했다. 하남시는 소득과 고용, 노후 등의 지표로 조사한 경제활동 분야에서 3위에 올랐고, 주거환경 분야에서도 8위를 기록했다. 2013년까지 50%에 불과했던 재정자립도가 위례신도시와 미사강변도시가 건립되고 인구 유입이 대거 늘면서 개선됐고, 서울 송파·강동구와 인접해있는 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안양시는 경제활동 분야에서 8위, 생활안전 분야에서 9위로 최상위권을 달성했다.


'톱10'에 경기 7곳·서울 3곳·인천 0곳


2024년 수도권 사회안전지수 31~62위/그래픽=윤선정
올해 조사에서는 상위 10위권 내에 경기도 내 자치단체(7곳)가 가장 많았다. 서울시 자치구의 경우 3곳만 순위에 포함됐다. 인천에서 가장 높은 순위는 연수구(15위)가 차지했다. 전반적으로 경기도는 서울시보다 경제활동·주거환경 분야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 경제활동에서는 9곳, 주거환경에서는 8곳이 10위권 내에 랭크됐다. 다만 하위권에도 경기 북부 지역 도시들이 적지 않게 포진되면서 남부와 북부간의 격차는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았다.

경제활동 분야 1위는 서부에 현대·기아자동차와 관계회사, 남부에 제약회사 공장, 동부에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을 비롯해 다수의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생산공장이 있는 경기 화성시(전체 8위)가 차지했다. 아울러 상급종합병원 2곳과 종합병원급 2곳 등이 있는 서울 강남구(전체 13위)는 건강보건 분야에서 1위에 올랐다.

장안식 케이스탯 공공사회정책연구소장은 "이번 조사를 보면 경기도 일부 지역이 강남 3구보다 상당히 약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경기 안양과 구리, 화성 등 서울 인근을 중심으로 주요 기업과 공장 등이 세워지고, 젊은 층이 대거 이주한 효과가 나타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베스트 클릭

  1. 1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2. 2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
  3. 3 '청담동 주식부자' 이희진 결혼 상대는?…걸그룹 '리브하이' 레아
  4. 4 "비싸도 살 수만 있다면" 15시간 줄 섰다…뉴욕 한복판에 수백명 우르르[뉴스속오늘]
  5. 5 '10조 자산가' 서정진 "부자라고? 만져본 적 없는 돈…난 평범한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