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상승세 꺾이자…수입물가 5개월만에 하락전환

머니투데이 세종=박광범 기자 | 2024.06.14 06:00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다./사진제공=뉴스1
국제유가 상승세가 한풀 꺾이면서 지난달 수출입물가가 5개월 만에 동반 하락 전환했다. 수입물가 하락은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이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5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원화 기준 수입물가지수는 141.58(2020년=100)로 전월 대비 1.4% 하락했다. 5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원재료가 광산품(-4%)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3.7% 내렸다. 중간재는 석탄및석유제품(-2.4%), 화학제품(-0.6%) 등이 내리며 전월대비 0.3% 하락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는 각각 0.2%, 0.3% 낮아졌다.

수입물가 하락은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 하락 영향이다. 두바이유 월평균 가격은 지난 4월 배럴당 89.17달러에서 지난달 84.04달러로 5.8% 하락했다. 같은 기간 원/달러 평균 환율은 1367.83원에서 1365.39원으로 내렸다.

환율 효과를 제외한 지난달 계약통화기준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1.2% 내렸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2.6% 오른 수준이다.

지난달 수출물가지수는 131.70으로 전월 대비 0.6% 하락했다.

품목별로 보면 공산품이 전월 대비 0.6% 내렸다. 석탄및석유제품(-5.7%), 화학제품(-0.4%) 등이 하락한 영향이다. 반면 농림수산품은 전월대비 1.9% 상승했다.


지난달 수출물량지수와 수출금액지수는 각각 전년 동월 대비 6.3%, 10.3% 상승했다.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와 화학제품 등이 증가한 영향이다.

특히 수출금액지수는 2022년 7월 이후 최고 수준까지 올랐다. 유성욱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장은 "전반적인 수출 가격 수준이 회복됐다고 볼 수 있다"며 "상반기 중 전년동기대비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가격이 오른 부분이 영향을 준 것 같다"고 설명했다.

반면 같은 기간 수입물량지수와 수입금액지수는 각각 전년동월대비 0.6%, 1.6% 하락했다.

지난달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가격(+3.8%)은 상승하고 수입가격(-1.1%)은 하락하며 전년 동월 대비 4.9% 상승한 91.57을 기록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상품 한 단위 가격 간 비율이다. 우리나라가 수출 한 단위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의미한다. 예컨대 지난달 기준으로는 상품 100개를 수출하면 91.57개 상품을 수입할 수 있다는 뜻이다.

지난달 소득교역조건지수(108.94)는 전년 동월 대비 11.5% 상승했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우리나라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전체 상품의 양을 말한다.

베스트 클릭

  1. 1 "두 번의 임신 빌미로 금전 요구"…허웅, 전 여친 고소한 이유
  2. 2 감자 캐던 소녀, 큐대 잡더니 '국민영웅' 됐다…"한국은 기회의 땅"[인터뷰]
  3. 3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4. 4 300만원 든 지갑 돌려준 노숙자, 돈벼락 맞았다…"수천만원 돈쭐"
  5. 5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