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美대선 '리턴매치'...결과에 불안한 韓기업들

머니투데이 박준식 특파원 | 2024.06.21 04:15

[리스크의 시대, 기업의 생존법]④

편집자주 | 앞이 잘 보이지 않는다. 예상보다 길어지는 고물가·고금리, 중동 분쟁,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불확실성 등으로 세계 경제가 요동치고 있다. 4월 총선 이후 국내 정치 리스크도 커졌다. 이른바 '리스크의 시대'다. 굴지의 대기업들은 '비상 경영'을 선언하고 활로를 찾아 나섰다. 사업구조 개편, 희망퇴직 등 '마른 수건 쥐어짜기'로 위기 돌파에 나선 기업도 적지 않다. 우리 기업들이 우려하는 대내외 핵심 리스크를 살피고 돌파구를 모색해본다.

[워싱턴=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각) 워싱턴 힐튼에서 열린 총기 규제 옹호 시민단체 '에브리타운 포 건 세이프티' 행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미국총기협회(NRA) 행사에 참석해 ‘나는 재임 중 총기에 관해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라고 자랑스럽게 말했다”라고 비판했다. 공교롭게도 이날 바이든 대통령의 차남 헌터 바이든이 불법 총기 소유 혐의로 유죄 평결을 받았다. 2024.06.12. /사진=민경찬
기업들은 오는 11월 미국 대선 결과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 '리턴 매치 결과에 따라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우리 기업들이 직면하게 될 리스크가 상당한 차이를 보일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 현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이라면 기존에 준비한 대응 메뉴얼을 더 심화하면 되지만, 그 반대라면 대(對)미국 전략이 '시계제로' 상태에 놓인다.

국내 배터리 3사는 난감한 상황을 맞게 될 수 있다. LG와 삼성, SK 등 배터리 3사는 바이든 정부가 주는 인센티브를 기대하고 북미에만 50조원이 넘는 투자를 집행한 상황이다. 기업들은 최근 트럼프가 지적한 IRA(인플레이션 방지법) 보조금 폐지 언급을 경계하고 있다. 트럼프는 "대통령 임기 첫날에 전기차 보조금을 중단할 것"이라며 "미국엔 석유가 많다"고 공언했다.

트럼프는 기후온난화와 그에 따른 재생에너지 산업육성보다는 기존 화석 연료산업계를 우선시한다. 전기차 보조금을 기대하고 관련 생태계를 꾸려온 현대·기아차는 물론이고 배터리 업계나 관련 1~3차 국내 밴더들도 대선 결과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수 있다. 태양광 보조금을 기대하고 미국에 진출한 한화그룹도 영향권에 드는 기업이다.

[라스베이거스=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각) 미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선거 유세에 나서 지지자들에게 손짓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기온이 38도에 육박하는 폭염 속에 야외 유세에 나서 지지자들을 만났다. 2024.06.10. /사진=민경찬
하지만 IRA 폐지 위협에도 불구하고 반도체만큼은 트럼프 역시 보조금을 써가며 육성하리란 전망이 우세하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7년 평택 미군기지를 방문했을 당시 헬기시찰을 하면서 주변 평야에 대규모로 삼성 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는 "저 공장들을 왜 우리가 가져오지 못했냐"고 보좌진들을 나무란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가 중국이 아직까지 따라오지 못한 반도체 분야에서만큼은 적잖은 인센티브 정책으로 대응할 거란 전망이 나온다.

산업연구원(KIET)은 최근 보고서에서 바이든이 재집권하면 '다자간 중국 견제 및 현상 유지'가 예상되지만, 트럼프가 당선되면 '양자간 협상 위주 및 불확실성 증가'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첨단전략산업에 있어 반도체와 바이오의약품 산업은 선거 결과에 큰 영향 없이 대중국 경쟁우위를 유지하면서 북미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이차전지 산업은 트럼프 당선이 친환경 정책 후퇴로 위협요인이 늘어나는 전환점을 맞을 거란 전망이다.


자동차와 방위산업도 트럼프가 집권하면 수출 여건이 악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바이든 정부에서는 미국과 서방 동맹국들에 대한 수출 증가세가 나타났지만 포퓰리즘을 적절히 활용하는 트럼프는 보호무역주의와 관세정책을 강화할 거란 지적이다. 이런 맥락에서 소재 산업 가운데 철강이나 화학 산업도 관세나 비관세 장벽 등 통상 여건과 관련한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다. 현지 시설투자 조건 악화에 대비하지 않거나 대미 협상력을 높이지 않을 경우 돌발 리스크가 많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베스트 클릭

  1. 1 노동교화형은 커녕…'신유빈과 셀카' 북한 탁구 선수들 '깜짝근황'
  2. 2 "네 남편이 나 사랑한대" 친구의 말…두 달 만에 끝난 '불같은' 사랑 [이혼챗봇]
  3. 3 "바닥엔 바퀴벌레 수천마리…죽은 개들 쏟아져" 가정집서 무슨 일이
  4. 4 "곽튜브가 친구 물건 훔쳐" 학폭 이유 반전(?)…동창 폭로 나왔다
  5. 5 '日 노벨상 산실' 수석과학자…'다 버리고' 한국행 택한 까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