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이어야 부자" 32%…높아진 눈높이

머니투데이 김도엽 기자 | 2024.06.19 05:22

[2024 당당한부자 대국민 설문조사]

부자의 총자산 기준/그래픽=김현정
얼마나 많은 재산이 있어야 부자일까. 부자의 기준은 사람마다 모두 다르다. 소득이 높을수록 부자의 기준도 높았다. 인플레이션 효과로 시간이 지나면서 부자의 기준이 높아지는 추세다.

머니투데이가 여론조사업체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한 '당당한 부자'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살고 있는 집을 포함한 총자산이 얼마 정도 있어야 부자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28.6%가 10억원 이상이라고 답했다.

20억원 이상이라는 답변이 21.4%로 뒤를 이었고, 50억원 이상(17.7%), 30억원 이상(15.5%), 100억원 이상(13.2%) 순이었다.

100억원 이상을 부자라고 답한 응답자는 고소득자가 많았다. 2000만원 이상·1500만~2000만원인 가구들은 총자산이 100억원 이상이 돼야 부자라고 답한 비율이 각각 35.7%, 29.6%로 가장 높았다. 1000만~1500만원 가구는 100억원 이상이 22.7%로 30억원 이상 비율 29.5%의 뒤를 이었다. 아울러 연령과 지역별로는 40대(15.9%), 서울(17.2%) 지역에서 100억원 이상을 꼽은 비율이 높았다.

반면 10억원 이상을 부자라고 답한 응답자는 상대적으로 저소득인 가구에서 두드러졌다. 월 가구소득이 100만원 미만(37.7%), 100만~200만원(47.9%), 200만~300만원(35.7%), 300만~400만원(33.7%), 400만~500만원(27.2%) 가구에서 총자산 10억원 이상을 부자로 보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연도별 변화를 보면 부자의 총자산 기준은 추세상 높아지고 있다. 인플레이션 효과로 부자 눈높이가 높아지는 모양새다. '50억원 이상(17.7%)'·'100억원 이상(13.2%)'은 지난해(19.0%·13.4%)보다는 소폭 줄었지만, 4년 전인 2020년(13.4%·10.2%)에 비해서는 늘어났다.

반면 '10억원 이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28.6%로 지난해보다 1.2%P(포인트) 높아졌지만 2020년(35.7%)에 비해서는 7.1%P 내려오며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부자의 금융자산 기준/그래픽=김현정
'현금성 있는 금융자산이 얼마나 있어야 부자인지' 묻는 말에는 '10억원 이상'을 꼽는 이들이 32.0%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5억원 이상(25.5%) 비율이 높았고, 1억원 이상(15%), 3억원 이상(14.8%), 30억원 이상(10.1%) 순이었다.

총자산과 유사하게 소득 2000만원 이상(34.5%), 1500만~2000만원(45.6%) 등 고소득 가구는 두번째로 높은 금액인 10억원 이상이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연령대로 보면 20·30세대의 기준이 상대적으로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30억원 이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세대 중 20대(15.9%)가 가장 높았는데 전년(9.2%)에 견줘 6.7%P 오른 수치다. 30대 중에서는 10억원 이상을 꼽은 응답자가 41.6%로 가장 많았고 전년(33.6%)과 비교해 8%P 뛰었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10억원 이상'에 대한 응답률(32.0%)이 지난해(29.9%)에 비해 2.1%P 오르며 가장 많이 늘어났다. 30억원 이상(29.9%)은 전년 대비 0.1%P 내렸지만 2020년 조사보다는 2.2%P 늘어났다.

반면 같은 기간 1억원 이상·3억원 이상을 선택한 응답자 비율은 각각 2.5%p·3.1%p 줄었다. 현금성 부자의 기준도 다소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베스트 클릭

  1. 1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2. 2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3. 3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
  4. 4 "손흥민 이미지…20억 안부른 게 다행" 손웅정 고소 부모 녹취록 나왔다
  5. 5 강제로 키스마크 남겼다?…피겨 이해인, 성추행 피해자 문자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