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성 '타율 하락' 전혀 걱정 없다, 홈런-도루-선구안은 확실... 오히려 타격 생산력 더 좋아졌다

스타뉴스 양정웅 기자 | 2024.06.11 20:59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김하성. /AFPBBNews=뉴스1
타율만 보면 지난해에 미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김하성(29·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올 시즌 성적을 뜯어보면 작년만큼의 활약을 펼치고 있다.

김하성은 11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펫코 파크에서 열린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2024 메이저리그(MLB) 정규시즌 홈경기에서 8번 타자 겸 유격수로 선발 출전, 4타석 1타수 1안타 2볼넷 2타점 1도루를 기록했다.

이날 김하성은 적재적소에서 팀 공격력에 기여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샌디에이고가 0-1로 지고 있던 1사 2, 3루에서 타석에 등장한 그는 오클랜드 선발 조이 에스테스를 상대로 풀카운트 승부를 펼친 그는 바깥쪽 패스트볼까지 골라내며 볼넷으로 출루했다. 비록 득점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투구 수를 늘리는 활약이었다.

이어 1-1 동점이던 4회 말 1사 2루에서는 에스테스의 2구째 시속 90.4마일(약 145.5㎞) 포심 패스트볼을 받아쳐 좌익수 키를 넘어가는 적시타를 뽑아냈다. 김하성은 2루까지 도전해봤으나 타구 속도가 106.6마일(약 171.6㎞)로 빨랐던지라 좌익수 미겔 안두하의 송구에 2루에서 아웃되고 말았다.

이후로도 김하성의 활약은 알토란 같았다. 6회 말에는 좌완 션 뉴컴을 상대로 무려 10구까지 가는 끈질긴 모습을 보였다. 결국 볼넷을 골라나간 그는 루이스 캄푸사노 타석에서 2루 베이스를 훔치며 시즌 14호이자 빅리그 개인 통산 70호 도루를 성공시켰다. 7회 말 1사 만루에서는 가운데 패스트볼을 받아쳐 큼지막한 타구를 날렸으나, 단 4m 차이로 만루홈런이 아닌 희생플라이를 기록했다.

김하성이 11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펫코파크에서 열린 2024 메이저리그 정규시즌 오클랜드와 홈경기 4회 말 1사 1, 2루서 안타를 치고 있다. /AFPBBNews=뉴스1
김하성의 활약 속에 샌디에이고는 오클랜드를 6-1로 꺾었다. 시즌 35승 35패(승률 0.500)로 5할 승률로 복귀한 샌디에이고는 내셔널리그 서부지구 2위 자리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날 경기를 포함해 김하성은 올 시즌 69게임에 출전, 타율 0.223(233타수 52안타) 9홈런 34타점 35득점 14도루 OPS 0.734를 기록 중이다. 타율만 놓고 본다면 커리어하이였던 지난해(0.260)는 물론이고, 메이저리그 첫 풀타임 시즌이던 2022년(0.251)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나마도 2할 극초반대 타율로 이른바 '멘도사 라인'을 지키던 초반보다는 나아졌지만, 침체에 빠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누적 기록은 지난해만큼이나 훌륭한 페이스다. 김하성은 2023시즌 17개의 홈런과 38도루를 달성했다. 올해 팀 70경기를 치른 그는 이 페이스를 유지한다면 20홈런-32도루를 기록하게 된다. 이렇게 된다면 그는 지난해 아깝게 하지 못했던 한국인 타자 2번째 메이저리그 20(홈런)-20(도루) 클럽 달성도 노려볼 수 있다.

김하성(오른쪽)이 11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펫코파크에서 열린 2024 메이저리그 정규시즌 오클랜드와 홈경기 6회 말 2루 도루에 성공했다. /AFPBBNews=뉴스1
또한 선구안에서도 눈에 띄는 발전을 이뤘다. 김하성은 빅리그 데뷔 시즌인 2021년 타석당 볼넷 비율이 7.4%에 불과한 반면 삼진은 23.8%였다. 하지만 매년 개선을 이뤘고, 올해는 11일 기준 삼진 15.9%-볼넷 14.1%가 됐다. 시즌 볼넷은 39개로, 내셔널리그 4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그의 출루율은 0.335로, 타율을 감안하면 지난 시즌(0.351)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여기에 장타율은 0.399로 오히려 작년(0.398)보다 높다.

그러면서 김하성의 타격 생산력은 지난 시즌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다. 야구통계사이트 베이스볼 레퍼런스에서 리그 평균 OPS를 100으로 놓고 산출하는 OPS+는 114로, 2023시즌의 108보다 높다. 다른 사이트 팬그래프에서 산출한 wRC+(조정 득점 생산력)는 112로, 이 역시 지난해와 똑같다.

김하성은 올 시즌이 끝나면 FA(프리에이전트) 자격을 얻어 시장에 나온다. 아직 2023시즌만큼의 임팩트는 없지만, 이대로 건실한 활약을 유지한다면 예상 외의 큰 계약을 따낼 수도 있을 전망이다.

김하성. /AFPBBNews=뉴스1

베스트 클릭

  1. 1 300만원 든 지갑 돌려준 노숙자, 돈벼락 맞았다…"수천만원 돈쭐"
  2. 2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3. 3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4. 4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5. 5 베트남 두리안 싹쓸이 하더니 돌연 "수입 안해"…중국 속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