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대표 선거에 민심 30%? 내일 발표…황우여, '2인 지도체제론' 고수

머니투데이 박소연 기자 | 2024.06.11 17:24

[the300]당헌당규 특위, 막판 진통…민심 반영 비율은 20~30% 수준 예상

여상규 국민의힘 당헌당규개정특위 위원장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당헌당규개정특위 1차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4.06.04. /사진=뉴시스 /사진=조성봉
국민의힘이 당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 룰 개정 문제를 놓고 막판까지 진통을 겪고 있다. 당초 민심을 30% 반영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종 합의에 이르진 못했다.

11일 여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는 전당대회 룰과 당권·대권 분리 규정, 지도체제 등과 관련한 논의 결과를 이르면 12일 발표할 예정이다.

당초 특위는 이날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했으나, 전날 밤 돌연 "심화된 논의를 위해 추후 일자를 정하여 진행하기로 했다"고 공지했다.

이날 회의를 마치고 여상규 특위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내일은 (전당대회 룰 논의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가장 큰 이견이 무엇이냐는 질문엔 답하지 않았다. 오신환 위원은 "결론난 게 없다"고 설명했다.

특위의 발표가 지연되는 것은 민심 반영 비율을 둘러싼 이견 때문인 것으로 전해진다.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제안한 '2인 지도체제'는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견제용이란 논란이 일자 일단 특위 내부에선 현행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총선 결과에 따른 위원장직 사퇴 입장을 밝히고 당사를 나서며 취재진과 인사하고 있다.(공동취재) 2024.4.11/사진=뉴스1 /사진=(서울=뉴스1) 구윤성 기자
특위 내부에선 전당대회 직전에 지도체제를 바꾸는 것은 특정 후보의 유불리와 직결될 수 있어 시기적으로 맞지 않다는 의견이 나왔다고 한다. 당권·대권 분리조항도 현행체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황우여 위원장이 2인 지도체제에 대한 소신을 완전히 거두지 않고 있다는 점이 변수다. 황 위원장은 이날 오전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2인 지도체제로 전환되면)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도 훨씬 부담이 적을 것이다. (대권 도전을 위해) 조용히 나가도 당은 그대로 유지된다"며 2인 지도체제의 효용성을 거듭 강조했다.

황 위원장이 제안한 2인 지도체제는 당 대표 선거에서 1위를 차지한 후보가 당 대표를 맡고 2위가 수석 최고위원을 맡는 방식이다. 당 대표 궐위 시 수석 최고위원이 당대표직을 승계받는다는 점이 현행 단일 지도체제와 다르다.


황 위원장은 "당장 대권주자들이 (대선에) 나온다고 하면, 내년 9월이면 사임해야 한다"며 "그러면 다시 4개월에서 6개월에 걸치는 비대위 체제가 다시 들어선다. 그다음에 바로 지방선거인데 어떻게 지방선거를 치르냐"고 했다.

전대 룰을 놓고는 논의가 공전을 거듭하고 있다. 현행 당원투표 100%로 이뤄지는 지도부 선출 방식은 폐기하기로 뜻을 모았지만 민심 반영 비율을 놓고는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있다. 현역 의원 108명을 대상으로 현행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민심을 30% 반영하는 방안이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나, 민심을 20% 반영하잔 의견과는 한 표 차이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아무래도 당심 대 민심을 7:3으로 개정하는 것은 당원 100% 도입 이전으로 회귀하는 것이라, 당원 100% 도입 결정이 잘못됐단 것을 인정하는 꼴이라 조심스러운 측면이 있다"며 "민주당이 민심 25% 반영인데 그것보다 더 민심을 높게 반영해야 하냐는 의견도 있다"고 밝혔다.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4.6.10/사진=뉴스1 /사진=(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특위가 12일 발표하는 당헌·당규 개정안은 비대위 의결을 거치게 된다. 특위가 보고하는 안이 비대위에서 일부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당내에선 전대 룰에서 민심 비율이 20%이든 30%이든 대세에 별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많다. 다수의 여론조사에서 한 전 위원장이 국민의힘 지지층과 일반 국민들 모두에서 다른 당권주자들에 비해 압도적인 지지율을 얻고 있어서다. 다만 황 위원장이 2인 지도체제를 끝내 관철시킨다면 친윤계 후보가 힘을 받으면서 당권구도 자체가 요동칠 여지도 있단 분석이 나온다.

전당대회는 결선투표 가능성 등을 고려해 파리올림픽 전인 다음달 23일쯤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한 전 위원장의 출마가 거의 기정사실화된 가운데 후보자 등록이 시작되는 이달 중하순 쯤엔 행보가 공식화될 전망이다.

베스트 클릭

  1. 1 "두 번의 임신 빌미로 금전 요구"…허웅, 전 여친 고소한 이유
  2. 2 감자 캐던 소녀, 큐대 잡더니 '국민영웅' 됐다…"한국은 기회의 땅"[인터뷰]
  3. 3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4. 4 "바퀴 없으니 잘 닦여" 주부들 입소문…물걸레 로봇청소기 1위 기업의 변신
  5. 5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