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불법행위 경영진 배상책임 검토…무분별한 IPO 지양"

머니투데이 변휘 기자 | 2024.06.11 14:53

준신위 첫 워크숍…카카오, 쇄신안 보고
"플랫폼 맞춤 준법경영 평가기준 연구"

(왼쪽부터) 권대열 카카오 ESG위원장, 김용진 카카오 준법과신뢰위원회(준신위) 위원, 이영주 준신위원, 안수현 준신위원, 김소영 준신위원장, 정신아 카카오 대표, 유병준 준신위원, 이지운 준신위원./사진제공=카카오 준신위
카카오가 고의적 불법행위를 한 경영진에 배상책임을 지우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의 쇄신안을 '카카오 준법과신뢰위원회(준신위)'에 보고했다. 준신위는 카카오 계열사의 준법·신뢰경영을 지원하는 독립기구로, 앞서 지난 2월 카카오에 대해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개선방안 마련을 권고한 바 있다.

준신위는 지난 10일 경기도 용인시 '카카오AI캠퍼스'에서 첫 번째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준신위 출범 6개월을 기념해 열린 이번 행사에서 준신위원을 비롯해 전문위원, 사무국, 카카오 관계자 등 30여명의 참석자는 카카오의 컴플라이언스 현황을 점검했다.

특히 지난 2월 준신위 권고를 반영해 카카오는 '책임경영', '윤리적 리더십', '사회적 신뢰회복' 3가지 의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책임경영 기반 마련을 위해 카카오는 CA협의체 중심 컨트롤타워 구조를 확립하고, 김범수 CA협의체 의장 주도로 경영 쇄신에 나선다고 밝혔다. 또 △대규모 투자 등 사회적 영향이 높은 의사결정 시 사전 리스크 점검 및 사후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경영진 책임 강화를 위해 내외부 평판 검증 등 임면 프로세스를 강화하며 △고의적인 불법행위를 한 경영진에 배상책임을 지우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윤리적 리더십 확립 방안으로는 가치, 공정, 소통, 책임 등 4가지 항목을 포함한 '카카오그룹 윤리헌장'을 마련해 경영진을 비롯한 카카오 모든 직원이 준수할 수 있도록 공표할 예정이다.

사회적 신뢰회복 의제 실행을 위해선 주주가치 보호와 파트너 상생 방안을 추진한다. 특히 자회사 상장으로 인한 모회사 주주가치 하락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무분별한 신규 IPO(기업공개)를 지양한다는 원칙을 확립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IPO를 추진할 경우, 그룹 차원에서 사전 검증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 절차를 거쳐 IPO가 결정돼도, 주주가치 보호 방안을 함께 마련할 예정이다. 파트너와의 상생을 위해선 그룹 차원의 전체 로드맵을 마련해 체계적으로 상생 사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준신위는 앞으로 개선방안의 세부 내용과 추진 계획을 점검한 뒤 이를 평가하는 기간을 가진다. 또 카카오,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6개 협약 계열사가 개선방안을 성실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워크숍에선 허성욱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ESG 및 컴플라이언스 트렌드'를 주제로 강연했다. 참석자들은 컴플라이언스 시스템이 정착된 모범 사례와 카카오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해 토론을 나눴다.

이와 관련해 준신위는 최근 카카오 등 플랫폼 산업의 특성에 맞는 준법경영 체계와 평가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 카카오가 준법·신뢰경영을 선도해나갈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할 예정이다.

김소영 준신위원장은 "이제부터는 준신위와 카카오가 함께 개선방안을 충실히 검토하고 제대로 실행할 차례"라며 "변화를 향한 카카오의 여정은 갈 길이 많이 남았지만, 진정성을 가지고 포기하지 않는다면 목표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300만원 든 지갑 돌려준 노숙자, 돈벼락 맞았다…"수천만원 돈쭐"
  2. 2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3. 3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4. 4 베트남 두리안 싹쓸이 하더니 돌연 "수입 안해"…중국 속내는?
  5. 5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