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증시에 '긍정' 28.5%>'부정' 14.5%…인센티브가 패 가를 것

머니투데이 이병권 기자 | 2024.06.19 05:45

[2024 당당한부자 대국민 설문조사]

편집자주 | [편집자주] 우리 사회의 부자는 부러움의 대상이지만 인정과 존경의 대상은 아니었다. 뭔가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모았을 것 같고 사회에 돌려주는데 인색하다는 인식 때문이다. 하지만 정당하게 벌고 모은 부를 사회와 함께 쓰는 '당당한 부자'들이 우리 사회엔 적지 않다. 머니투데이는 '당당한 부자'란 주제로 2004년부터 매년 대국민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우리 국민들이 생각하는 부자의 기준, 부자에 대한 인식, 부자가 될 수 있는 방법은 올해 어떻게 달라졌을까.

밸류업 프로그램이 증시에 끼치는 영향/그래픽=김현정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이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기대하는 사람이 부정적 영향을 전망하는 사람보다 많았다. 다만 대부분 사람들은 영향이 없거나 모른다고 답했다.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지 않아 관심이 덜한 모습이다. 정부가 밸류업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선 '세제혜택과 인센티브'를 주는 것에 주력해야 한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많았다.

19일 머니투데이가 여론조사업체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한 '당당한 부자'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밸류업 프로그램이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답변이 28.5%로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답변 14.5%의 2배에 육박했다.

밸류업 프로그램은 지난 2월26일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주가 저평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한 정책이다. 상장사가 PBR(순자산비율)·ROE(자기자본이익률)를 비교공시하고 기업가치 개선 계획 등을 발표할 것을 권고하는 내용이 담겼다. 개선 우수기업을 모아 상장지수펀드(ETF)도 만들 계획이다.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당시 '맹탕'이라는 지적이 많았으나 기대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은 셈이다. 특히 부정적인 견해를 압도하면서, 밸류업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증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영향 없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40.6%, '모름·무응답'도 16.4%에 달해 절반이 넘어 밸류업 프로그램에 관한 관심은 크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소득별로는 월 가구소득을 100만원 미만부터 2000만원 이상까지 100만원 단위 10개 구간으로 나눴을 때, 가구소득 상위 10%(2000만원 이상)에 속한 응답자의 38%가 밸류업 프로그램이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다. 10개 소득 구간 중 가장 높다. 반면 하위 10%(100만원 미만의 가구)에서는 '부정적 영향'이 24.7%로 가장 높았다.


정부가 밸류업 프로그램에서 주력해야 할 부분/그래픽=김지영
정부가 '밸류업 프로그램에서 주력해야 하는 부분'(2개 중복 응답)에 대해선 '기업가치를 높인 기업에게 세제 혜택 및 인센티브'라고 답변한 비율이 33.4%로 가장 높았다.

이어 △코리아 밸류업 지수·ETF 개발(18.9%) △상장기업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 자율 수립·이행(17%) △각 기업의 주요 투자지표 제공(16.9%) △기업가치 제고 노력의 스튜어드십 코드 반영(15.9%) △거래소 및 유관기관의 밸류업 전담 지원체계 구축(15.3%) 순으로 비교적 고르게 분포됐다.

다만 '모름/무응답'이 25.9%로 높았다. 정부의 세제 혜택 및 인센티브 내용이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법인세 세액공제·배당소득세 분리과세 등 밸류업 참여 기업에 세제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기재부·금융위원회·법무부 등이 공청회를 통해 의견 수렴을 거칠 예정이다. 빠르면 오는 7월 말 발표되는 2025년도 세법개정안에 관련 내용이 담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번 조사는 5월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에게 전화면접조사를 통해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P)다.

베스트 클릭

  1. 1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2. 2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3. 3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
  4. 4 "손흥민 이미지…20억 안부른 게 다행" 손웅정 고소 부모 녹취록 나왔다
  5. 5 강제로 키스마크 남겼다?…피겨 이해인, 성추행 피해자 문자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