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세] 갈길 먼 인바운드 창업강국, 앞당기려면

머니투데이 김성휘 기자 | 2024.06.10 07:00

[우리가 보는 세상]

편집자주 | 뉴스현장에는 희로애락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기사로 쓰기에 쉽지 않은 것도 있고, 곰곰이 생각해봐야 할 일도 많습니다. '우리가 보는 세상'(우보세)은 머니투데이 시니어 기자들이 속보 기사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뉴스 속의 뉴스' '뉴스 속의 스토리'를 전하는 코너입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4 가운데 스타트업 관련 4YFN 행사장이 관람객들로 붐비고 있다. 2024.2.28/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바르셀로나(스페인)=뉴스1) 김민지 기자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서울로보틱스는 올 1월 기준 엔지니어 인력의 40%가 외국인이다. 이들 가운데 한국 카이스트나 서울대는 물론 독일 뮌헨 공대(TUM),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ETH) 등 세계적 공과대학 출신들이 적잖다. 2017년 창업한 서울로보틱스는 이 같은 인재 경쟁력을 바탕으로 BMW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를 고객사로 두며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이다.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디캠프는 서울 선릉과 공덕에 각각 창업공간을 운영 중이다. 이곳 회의 공간에는 내·외국인이 섞여 아이디어를 나누는 모습이 흔하다. 디캠프의 한 AI(인공지능) 관련 입주기업은 직원 23명 중 외국인이 7명(30.4%)으로 조사됐다.

국내 인재가 해외로 진출하는 것을 아웃바운드, 반대로 외국 인재가 국내로 들어오는 것을 인바운드라 한다. 국내 스타트업에 근무하는 외국인 즉 '인바운드' 취업이 점차 늘고 있다. 외국인 채용은 언뜻 국내 일자리 확대와 상충하는 것같지만 스타트업의 글로벌화를 위해선 가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벤처투자 전문가들은 처음부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고 창업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러나 외국인 채용은 여전히 어렵고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업계는 호소한다. 외국인이 국내에서 창업, 법인을 설립하려면 한국인보다 몇 배 까다로운 절차를 거친다. 국내 취업하는 외국인 임직원에 대한 정주여건 개선도 필요하다. 스타트업얼라이언스는 지난해 보고서에서 "외국인 창업비자 발급시 요구하는 학력조건이 높고, 외국인 취업자가 가족을 초청할 때 동반가족비자발급 요건도 까다롭다"고 지적했다.

삼성전자 출신으로 에듀테크 기업 태그하이브를 국내에서 창업한 인도인 아가르왈 판카즈 대표는 지난 5일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플랫폼 유니콘팩토리와 만나 "외국인 관련 정책이 바뀌어도 정작 당사자인 외국인들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벤처기업협회는 이와 관련 SW 전문인력 비자 정원을 확대하고, 현재 코트라만 가진 비자 추천권을 벤처기업협회에도 확대해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한국액셀러레이터협회는 유학생 비자 연장 절차 관련 국내 체류 외국인 유학생 등이 창업으로 전환할 때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인바운드 강국'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일 것이다. 저출산, 고령화, 지방소멸 등을 한꺼번에 겪는 대한민국은 특단의 조치가 없고서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경제적 타격을 극복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로보틱스, 태그하이브처럼 출신 국가를 가리지 않는 인재들이 모여 성과를 내는 사례를 늘려야 한다. 그러려면 적절한 제도가 뒷받침돼야 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오영주 장관 취임 후 글로벌 인바운드 강국을 목표로 세운 것은 다행스럽다. 하지만 갈 길이 멀다. 특히 비자 정책은 법무부가 관할하는 등 소관 부처별 입장이 얽힌다. 한국이 와서 살아보고 싶은 매력있는 나라인지도 자문해봐야 한다. 외국인이 처음부터 창업하려 입국하기보다 대개 연수·유학 등을 계기로 한국과 인연을 맺기 때문이다. 범부처 차원의 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이유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