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 아끼려 층수 낮추는데…" 공공기여 갈등은 층층이

머니투데이 김평화 기자, 김효정 기자 | 2024.06.07 05:30

'GBC' 설계변경 현대차, 기여금액 3조 넘을 수도
서울시, '105층 전제' 내용·규모 정해…55층땐 재협상
"2016년 대비 땅값 많이 올라, 상승비율 따라 증액해야"
추가 협상없인 행정처리 불가…그룹에 입장표명 공문

(서울=뉴스1) = 현대자동차그룹이 서울 삼성동 부지에 시민친화적 랜드마크 복합문화공간인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 새롭게 조성한다고 20일 밝혔다. GBC는 높이 242m, 55층 타워 2개동과 MICE(Meeting, Incentives, Convention, Events & Exhibition), 문화?편의시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될 저층부 4개동 등 총 6개동으로 조성된다. 사진은 조감도. (현대차그룹 제공) 2024.5.20/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 /사진=(서울=뉴스1)

현대자동차그룹이 서울 강남구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를 105층에서 55층으로 변경하는 설계변경을 추진하는 것을 두고 서울시와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서울시는 '조건'이 바뀐 만큼 인센티브와 공공기여 등을 다시 협상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현대차는 무응답으로 일관한다.

서울시는 사전협상 자체를 취소하는 초강수까지 고려 중인데, 그렇게 되면 기존 1조7000억원이던 공공기여 금액이 3조원 이상으로 치솟을 가능성이 높다. 현대차그룹 입장에선 '최악의 시나리오'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서울시는 현대자동차그룹이 서울 강남구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를 105층에서 55층으로 변경하는 것에 대해 "열려 있다"는 입장이다. 단, 조건이 붙는다. 공공기여 금액을 올리는 등 협상을 다시 해야 한다는 것. 절차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이 더 내야 할 돈은 1조원이 넘는다는 게 서울시 판단이다. 공사비를 줄이려 층수를 낮추기로 한 현대차그룹 입장에선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진 상황이다.

6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서울시와 현대차그룹의 설계변경 협상이 결렬되고 사전협상이 취소되고 처음부터 GBC 개발 협상을 다시 시작할 경우, 공공기여 금액이 천문학적으로 치솟는다. 서울시 관계자는 "2016년 사전협상 당시의 땅값에 비해 2024년 현재 땅값이 많이 올랐다"며 "오른 땅값을 기준으로 비율에 따라 공공기여액을 다시 산정해야 하는데, (공공기여 금액이) 3조원은 넘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추가협상을 하지 않고는 설계를 변경해줄 방법이 없다"며 "건축계획이 바뀔 때는 사전협상을 다시 해야 하는 게 건축허가 조건인데, 추가협상 없이는 행정을 처리할 방법이 없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의 뜻대로 설계변경을 하려면 기존 사전협상안을 토대로 한 추가협상이 필요하고, 현대차그룹이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원안에 대한 취소까지 갈 수 있다는 게 서울시 입장이다. 하지만 현대차그룹은 서울시 측에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서울시가 협상단 명단을 현대차 측에 요청한 배경이다.

앞서 서울시와 현대차그룹은 2016년부터 사전협상을 시작해 2019년 건축허가가 나왔다. 이때 '105층 GBC' 건축을 전제로, 부지 용도를 3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하고 부지 용적률을 기존 250%에서 800%로 상향조정했다. 그에 대한 대가로 현대차그룹은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잠실종합운동장 리모델링 등 공공기여 사업과 공연장과 105층 전망대 설치 등을 포함해 총 1조7000억원 규모 공공기여를 약속했다.


이때 정한 인센티브와 공공기여의 전제는 현대차그룹이 105층짜리 초고층 건물 1개 동과 35층짜리 숙박·업무 시설 1개 동, 6~9층의 전시·컨벤션·공연장 건물 3개 동을 짓는다는 것이었다. 최근 현대차그룹은 초고층 건물을 55층 2개 동으로 나눠 짓는 설계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공사비가 치솟자 '실리'를 찾기 위해 꺼낸 방안이다.

하지만 현대차그룹의 구상과 달리 설계변경에 따른 비용이 공사비를 아끼는 금액보다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 '105층 계획'을 전제로 정한 공공기여 항목들이 있는데, 55층 2개 건물로 바꾸면서 같은 조건을 적용해도 될지는 다시 따져봐야 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105층 전망대'와 '55층 전망대'의 가치는 다르기 때문에 공공기여 내용과 규모에 대한 재협상이 필요하다는 게 서울시 입장이다.

서울시는 이번 협상단 명단 요청을 시작으로 2주마다 현대차 측에 입장표명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낼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이 묵묵부답으로 일관할 경우 기존 사전협상을 전면취소하는 시나리오까지 검토 중이다.

GBC 개발 계획이 '제로 베이스'로 돌아갈 경우, 공공기여 금액이 늘어나는 건 물론, 완료시기도 기약 없이 늦춰진다. 올림픽대로와 타천동로 지화하, 동부간선도로 진입램프 신설, 봉은교·삼성교 보행로 확대 등 GBC 인근 교통 개선 공사 기간도 늘어질 수밖에 없다.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 사업/그래픽=임종철

베스트 클릭

  1. 1 "두 번의 임신 빌미로 금전 요구"…허웅, 전 여친 고소한 이유
  2. 2 감자 캐던 소녀, 큐대 잡더니 '국민영웅' 됐다…"한국은 기회의 땅"[인터뷰]
  3. 3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4. 4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5. 5 300만원 든 지갑 돌려준 노숙자, 돈벼락 맞았다…"수천만원 돈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