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맨해튼 혼잡통행료 계획 전격중단

머니투데이 뉴욕=박준식 특파원 | 2024.06.06 02:33
(뉴욕 AFP=뉴스1) 윤석민 대기자 = 뉴욕 이스트리버의 백조들도 집으로 돌아가는 가운데 브루클린 보로 너머 맨해튼의 스카이라인도 낙조속에 어둠에 빠져들고 있다. 2024.05.03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뉴욕 AFP=뉴스1) 윤석민 대기자
캐시 호철 뉴욕 주지사가 그간 예고돼 왔던 맨해튼 혼잡통행료 징수 방침을 전격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5일(현지시간) 호철 주지사는 기자회견을 통해 "열심히 일하는 뉴욕 주민들은 현재도 비용 부담을 겪고 있다"며 "주민들과 도시의 경제적 활력을 보호하기 위해 통행료 부과 계획을 중단하겠다"고 말했다.

당초 혼잡통행료 정책은 6월 30일부터 발효될 예정이었다. 미국 최초의 이 혼잡통행료 계획은 운전자들에게 센트럴 파크 남쪽 맨해튼 핵심 구역에 진입하는데 차등 요금을 부과하는 방안이었다. 이 정책은 런던과 싱가포르처럼 맨해튼에 혼잡통행료를 도입하려는 주정부의 계획으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때는 연방정부 승인이 이뤄지지 않아 포기됐지만 오히려 민주당 정부인 조 바이든 대통령 치하에서는 승인되면서 6월 말부터 부과될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계획은 코로나19로 인해 맨해튼을 떠나 뉴저지와 외곽 뉴욕주로 이주해 출퇴근 하는 주민들의 커다란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맨해튼 60번가 아래를 횡단하는 운전자에게 통행료로 최대 23달러를 부과한다는 계획인데 이것이 조지워싱턴 다리나 링컨 터널 등 기존 통행료 징수에 중첩돼 징수되는 것이기 때문에 과잉 징세라는 지적이 제기돼 온 것이다. 실제로 맨해튼 출퇴근 이주민은 하루에 통행료로만 한화로 5만원 안팎의 징수료를 내야 할 수도 있었다.


필 머피 뉴저지 주지사는 이 때문에 이 계획을 전면 중단하라는 소송을 제기했고, 뉴저지 주민들에 대한 불공정한 과세와 차별적인 대우에 맞서 싸우겠다는 주장을 지속적으로 내놓았다.

하지만 뉴욕 맨해튼은 코로나19 이후 텅 비어버린 오피스 공간과 원격근무 덕에 소비자를 잃은 상업 시설의 어려움 등 이중고를 겪어왔다. 뉴욕시는 세수 감소에 따른 위험을 경계하면서 메트로폴리탄 교통국(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에 연간 10억 달러를 혼잡통행료를 공급해 도시의 지하철과 버스를 업그레이드하려 했지만 계획은 전면적인 반발에 일단 좌초한 것으로 보인다.

베스트 클릭

  1. 1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2. 2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3. 3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
  4. 4 "손흥민 이미지…20억 안부른 게 다행" 손웅정 고소 부모 녹취록 나왔다
  5. 5 강제로 키스마크 남겼다?…피겨 이해인, 성추행 피해자 문자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