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견제 '생물보안법' 수혜 기대" 차바이오텍 美 자회사, CGT CDMO 강화

머니투데이 샌디에이고(미국)=홍효진 기자 | 2024.06.05 15:00

[2024 바이오 USA]
폴김 마티카 바이오 대표 기자간담회 개최
"우시 고객사과도 CDMO 협력 논의"

폴 김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이하 '마티카 바이오') 대표가 미국 샌디에이고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이하 '바이오 USA')가 진행 중인 4일(현지시간) 기자 간담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사진=홍효진 기자

"미국 기업 절반 이상은 기존 중국 CDMO(위탁개발생산) 파트너를 바꿀 의향이 있습니다. 마티카 바이오가 중국 업체 고객사를 충분히 끌어들일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폴 김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이하 '마티카 바이오') 대표는 4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이하 '바이오 USA') 기자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폴 김 대표는 "차바이오텍의 글로벌 CDMO 인프라를 통해 글로벌 기업의 전략적 CDMO 파트너가 되겠다"며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수요 급증과 미국 정부의 '생물보안법'(Biosecure Act) 관련 반사이익 기대감을 드러냈다.

마티카 바이오는 차바이오텍의 미국 CGT 바이오 의약품 CDMO(위탁개발생산) 자회사다. 2022년 5월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 텍사스주 칼리지스테이션에 CGT CDMO 시설을 세웠고, 지난해에는 자체 세포주 '마티맥스'(Matimax)를 개발했다. CGT가 차세대 의약품으로 주목받고 있는데다 최근 국내 첨단재생의료법이 통과로 향후 치료제 수요는 급증할 전망이다. 최근 글로벌 업계 동향을 보면 CGT 임상 진입 수는 2018년 1000개에서 지난해 1920개로, 관련 업체 수는 900곳에서 2762개로 늘었다.

회사가 자신하는 건 '맞춤형 생산시설'이다. 마티카 바이오·한국 분당차병원 GMP(제조품질관리기준)시설·마티카바이오랩스·CGB(세포·유전자치료제 시설)·일본 마티카바이오재팬 등 총 5개 생산시설을 기반으로 글로벌 CDMO 네트워크가 구축돼있다. 차바이오그룹이 보유한 의료인력 네트워크만 전 세계 1800명에 달한다. 폴 김 대표는 "CGT는 환자 자체가 제품인 만큼 개발과 동시에 직접 투여할 수 있는 시설까지 갖춰져야 선두가 될 수 있다"며 "병원 생태계와 근접하단 게 마티카 바이오의 가장 큰 강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사 글로벌 네트워크 관련 발표를 진행한 양은영 차바이오그룹 사업총괄 부문 부사장은 "고객사가 마티카 바이오와 수주 계약을 논의하는 동시에 차바이오그룹의 협력을 같이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며 "고객사 대부분이 개발 중인 제품이 환자 맞춤형 병원에서 진행하는 임상이 필요하다. 마티카 바이오에서 생산한 물질 적응증 관련 전문 의료진과의 임상 협력이 가능하단 점을 주목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현재 확충 계획을 세운 미국 내 2공장이 완공되면 기존 500ℓ(리터)의 생산 용량을 보유한 시설과 별도로 2000ℓ의 생산시설이 추가된다. 각 CGT 제품 종류와 임상 단계별 적용되는 생산시설 용량이 다른데 보통 임상 초기 단계의 제품은 500ℓ 시설에서, 상업화를 앞둔 후기 단계 제품은 향후 확보될 2000ℓ 용량 시설에서 생산될 계획이다. 면적 부지는 1공장(기타 공정시설 포함) 4만5000sqft(스퀘어피트·1264평), 2공장 3만5000sqft(983평)이다. 마티마 바이오는 2~3년 안으로 2공장을 완공하겠다는 계획이지만 고객사 제품 임상 진입 단계 등 외부 요인에 따라 완공 시점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차바이오그룹은 생산시설 확대와 CGT 기술력을 토대로 미국 정부가 중국 바이오 기업 견제를 목적으로 추진 중인 생물보안법 관련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단 입장이다. 글로벌 업계에선 해당 법안 여파로 기존 거래 업체를 중국 CDMO사에서 다른 국가 기업으로 변경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된 분위기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오상훈 차바이오텍 대표는 "당초 바이오 USA에서 예정된 마티카 바이오 사전 미팅 건수가 30건이었는데 40건으로 늘었다" "기존 우시 고객사도 마티카 바이오와 CDMO 협력 관련 논의를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300만원 든 지갑 돌려준 노숙자, 돈벼락 맞았다…"수천만원 돈쭐"
  2. 2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3. 3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4. 4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5. 5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