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57조… EOD 발생 폭은 둔화

머니투데이 이창섭 기자 | 2024.06.05 06:00
/사진제공=금융감독원
미국·유럽 상업용 부동산 가격 지수 하락이 둔화하면서 국내 금융사가 투자한 해외 부동산의 EOD(기한이익상실) 발생 규모도 작아졌다.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전체 금융권 총자산 대비 0.8%에 불과해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된다.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금융권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이 57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9월 말과 비교해 1조2000억원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보험 31조3000억원(54.4%) △은행 11조6000억원(20.2%) △증권 8조8000억원(15.2%) △상호금융 3조7000억원(6.4%) △여신전문금융사 2조1000억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0%) 순으로 투자액이 많았다.

올해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투자액은 10조6000억원이다. 2030년까지 44조8000억원의 만기가 도래한다. 투자 만기 연장으로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금액은 12조7000억원에서 약 2조2000억원 감소했다.

57조6000억원 투자 잔액 중에서 손실 파악이 가능한 단일 사업장 규모는 35조1000억원이다. 지금까지 누적 2조4100억원(6.85%)에서 EOD 사유가 발생했다. EOD 규모는 지난해 4분기 중 1000억원 증가했다. 다만 지난해 3분기 EOD 발생 규모인 9800억원과 비교하면 증가 폭은 많이 감소했다.


금융권 총자산(약 6859조원) 대비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비중은 0.8%다. 금감원은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국내 금융사가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이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올해 들어 미국·유럽 상업용 부동산 가격 지수 하락이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추가적인 가격 하락 위험을 배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금융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 손실 인식과 충분한 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할 계획이다. EOD 등 특이 동향 신속 보고 체계를 운영하고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자산에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두 번의 임신 빌미로 금전 요구"…허웅, 전 여친 고소한 이유
  2. 2 감자 캐던 소녀, 큐대 잡더니 '국민영웅' 됐다…"한국은 기회의 땅"[인터뷰]
  3. 3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4. 4 "바퀴 없으니 잘 닦여" 주부들 입소문…물걸레 로봇청소기 1위 기업의 변신
  5. 5 베트남 두리안 싹쓸이 하더니 돌연 "수입 안해"…중국 속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