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TOP 연구단' 5개 과제 선정…5년 R&D에 4825억원 쏜다

머니투데이 박건희 기자 | 2024.06.03 11:00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최종 선정 5개 과제/그래픽=이지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과학기술 R&D(연구·개발)에 연간 1000억원을 지원하는 2024년도 '글로벌 톱(TOP) 전략연구단' 5개 과제를 최종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선정된 연구단은 △시장선도형 차세대 이차전지 혁신 전략연구단 △수전해 수소 생산시스템 전략연구단 △글로벌 톱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 △SMR(소형모듈원자로) 가상원자로 플랫폼 개발사업단 △초거대 계산 반도체 전략연구단 등이다.

정부는 앞으로 5년간 총 4825억원을 글로벌 5개 연구단에 투자한다. 올해 총예산은 965억원으로 책정됐다.

글로벌 톱 전략연구단 지원사업은 과기정통부가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간 칸막이를 없애고 국가적 임무 중심의 개방적 협력 체계를 구축해 대형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 신규 사업이다. 지난해 11월 '윤석열 정부 R&D(연구·개발) 혁신 방안'을 통해 마련됐다.

지난 1월 31일 제안서 공고를 시작으로 연구개발계획서 1차 평가, 보완 컨설팅, 2차 평가 등의 선정 과정을 거쳤다. 첫 접수 당시 51개 제안서가 접수됐다. 2차 평가를 거쳐 10개 과제로 압축했으며, 지난달 24~25일 이틀간 최종 평가를 진행했다.


이차전지·SMR·청정수소·바이오·반도체…5년간 4825억 투입


한국화학연구원이 총괄하는 '시장선도형 차세대 이차전지 혁신 전략연구단'은 5년 동안(2024년~2028년) 지원 규모가 총 1300억원, 올해 예산 규모는 260억원이다. 5년간 고에너지밀도, 초경량, 고안전성 등이 특징인 차세대 이차전지 초격차 기술을 선점한다는 목표다.

'SMR 가상원자로 플랫폼 개발사업단'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총괄한다. 5년간 총 1025억원을 투자하며, 올해 예산 규모는 205억원이다. SMR 실증·설계·운영의 핵심 기술인 SMR 가상원자로 플랫폼 개발이 목표다.


수전해 핵심기술을 국산화해 청정수소 신사업을 창출한다는 목표로 출범하는 '수전해 수소 생산시스템 전략연구단'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총괄한다. 첫해 170억원, 5년간 총 850억원을 지원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총괄하는 '글로벌 톱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은 첨단바이오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공공 R&BD(사업화 연계 기술개발) 플랫폼을 구축해 민간기업의 첨단의약품 개발에 속도를 더한다는 목표다. 올해 170억원, 5년간 총 850억원을 투자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총괄을 맡은 '초거대 계산 반도체 전략연구단'은 초고속·저전력으로 구동하는 초거대 계산 처리용 차세대 컴퓨팅 반도체 개발을 목표로 한다. 총예산 규모는 800억원으로 1년 160억원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참여 출연연 연구자와 대학 교수 총괄기관 겸직연구원 임용 △총괄기관 인프라 전면 개방 △현장 협업 확대 등 글로벌 톱 전략연구단 지원 정책도 함께 추진한다.

선정된 5개 연구단은 올해부터 연구 절차에 착수한다. 연구단별 임무 목표, 연구개발계획에 대한 후속 발표도 이어질 예정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오물만 들어 있는게 아니었어?...북한이 띄운 풍선 만지면 벌어지는 일
  2. 2 '사생활 논란' 허웅 측, 故이선균 언급하더니 "사과드린다"
  3. 3 '10조 자산가' 서정진 "부자라고? 만져본 적 없는 돈…난 평범한 사람"
  4. 4 손웅정 변호사에 '1억 리베이트' 제안한 학부모… "형사 문제될 수도"
  5. 5 마이클 잭슨, 사망 당시 '7000억' 빚더미…"장난감에 큰 돈 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