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자율주행 신호지연 줄이는 기술, 초격차 1000+ 프로젝트 선정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 2024.05.31 16:00

KISTI 연구소기업 트렌토시스템즈, KISTI 핵심기술 SDN, 5G/6G 및 스마트 모빌리티 상용화 기여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연구소기업 트렌토시스템즈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한 '2024년 초격차 스타트업 육성사업(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이하 DIPS 1000+)'의 미래 모빌리티 분야 초격차 기술기업으로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중기부 DIPS 1000+은 독보적 기술력을 갖춘 창업 10년 이내 기업을 대상으로 초격차 10개 기술 분야의 글로벌 산업에 진출할 스타트업을 선정해 기술사업화, 국내외 투자유치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KISTI는 트렌트 시스템즈에 5G(5세대) 핵심 기술인 SDN(Software-Defined Network) 기반의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출자·이전했다. 트렌토시스템즈는 이를 통해 국내 처음으로 원격제어 자율운행차량의 실증에 SDN 중심의 네트워크 품질 최적화 및 저지연 통신 기술을 적용, 수ms 이내 저지연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차량 스스로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자율 운행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개선했다.

트렌토시스템즈는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의 커넥티드 자율주행기술을 기반으로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 KAIST 친환경스마트자동차연구센터와 함께 대전 관제센터에서 제주도의 차량을 제어·운행하는 원격제어 자율주행기술의 실증을 추진하고 있다.


김영재 트렌토시스템즈 대표는 "자율주행에서 장애물을 인지하고 제동에 나서는데까지 신호의 지연 시간을 줄이는 것은 단지 편리함을 넘어 통신속도가 생명까지 좌우한다"며 "자율주행을 위한 필수 기술인 저지연 네트워크 기술을 DIPS 1000+ 프로젝트를 통해 사업화할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
  2. 2 "두 번의 임신 빌미로 금전 요구"…허웅, 전 여친 고소한 이유
  3. 3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4. 4 감자 캐던 소녀, 큐대 잡더니 '국민영웅' 됐다…"한국은 기회의 땅"[인터뷰]
  5. 5 "바퀴 없으니 잘 닦여" 주부들 입소문…물걸레 로봇청소기 1위 기업의 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