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사회위, 노인 1000만시대 종합 대책 연말 발표

머니투데이 정인지 기자 | 2024.05.30 15:23
/사진제공=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고령자 복지에 치우쳤던 그간의 고령사회 정책 방향을 전환하고, 여전히 건강하고 활동적인 1960년대생 베이비부머 세대(65∼74세)와 전통적인 노인(75세 이상)에 대한 접근 방식을 차별화해야 한다."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이하 저고위) 부위원장은 30일 '고령사회 분야 민간위원 간담회'를 열고 "우리나라 인구가 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문했다. 그러면서 "내년에는 노인인구 1000만명을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세종, 경기를 제외한 15개 시·도는 총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날 간담회에서는 △노후소득 보장 △고용·일자리 △의료요양·돌봄 △주거 △사회참여 활성화 △고령친화 기술·산업 등이 논의됐다.


저고위는 관계부처, 국책·민간연구기관, 경제계, 학계 등 전문가를 중심으로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올해 연말까지 '100세 시대 활력있고 편안안 노후 보장을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주 부위원장은 "지역별 고령화 속도와 인구구조 변화의 매커니즘의 차이, 지역경제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지역별 맞춤 전략을 강구하는 한편 인구구조 변화와 과학기술 발전, 산업구조 변화 등을 감안한 고령사회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고령사회 대응 정책 수립과 관련해 우선 추진 전략과 방향, 정책 대상·범위와 주요 분야별 검토할 핵심 정책과제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며 "앞으로 고령사회 정책방향에 대해 자주 의견을 듣고 논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2. 2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3. 3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
  4. 4 "손흥민 이미지…20억 안부른 게 다행" 손웅정 고소 부모 녹취록 나왔다
  5. 5 강제로 키스마크 남겼다?…피겨 이해인, 성추행 피해자 문자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