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혁신거점' 모인 스타트업들…"인공지능 전환(AX) 시대 선도"

머니투데이 최태범 기자 | 2024.05.29 18:00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박웅찬 클레브레인 대표 /사진=최태범 기자
"기업들이 거대언어모델(LLM) 성능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지만 가장 관건은 고객에게 진짜로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잘 찾을 수 있느냐다. 그런데 인공지능(AI)이 검색 기반으로 답을 하려고 하니 문제가 생긴다."

백병인 스트럭텀 대표는 29일 서울시의 AI 분야 기술창업 육성 전문기관인 '서울 AI 허브'의 앵커시설(핵심시설) 개관식에 앞서 부대행사로 진행된 IR 발표에서 "AI의 검색은 고객에게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찾아오는 것을 보장하지 못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2017년 '양재 R&CD 혁신허브'라는 명칭으로 개관한 서울 AI 허브는 서울시의 비전인 '글로벌 AI 테크시티 구현'을 목표로 AI 교육과 스타트업 육성, 중견기업 지원, 산학연 융복합 생태계 구축, 글로벌 협력에 집중하고 있다.

서울 AI 허브가 육성하고 있는 입주·멤버십 스타트업은 360여개에 달하며 이들의 기업가치는 1조5000억원에 육박한다. 지원기업의 누적 매출액은 3564억원, 투자유치 금액은 3675억원이다.

새롭게 문을 연 앵커시설은 서울시가 신축한 첫 번째 지원시설이다. 지하 1층~지상 7층 규모로 협력기관과 기업 간 네트워킹이 이뤄질 수 있도록 오픈형 라운지와 코워킹 공간을 층마다 배치했다.

이날 개관식에 앞서 진행된 IR 발표에는 스트럭텀을 비롯해 △클레브레인 △아리카 △스튜디오랩포디아이비젼프리베노틱스에스앤이컴퍼니빛날덴탈스튜디오 등 8곳의 스타트업 대표들이 무대에 올랐다.


백병인 스트럭텀 대표 /사진=최태범 기자
이들은 모두 서울 AI 허브에 입주한 AI 기술 기반 기업이다. IR을 통해 각자의 산업 영역에서 'AI 전환(AX)'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표시했다.

백병인 대표는 "LLM 서비스의 관건은 정확하고 신뢰 가능한 정보검색을 보장하는 '검색 증강 생성(RAG)'에 있다. 그런데 LLM이 지원하는 RAG는 쓸만한 수준이지만 여전히 비용 문제가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비정형 문서를 목차의 논리구조를 따라 구조화된 문서로 변형하면 RAG의 성능이 크게 개선된다"며 "스트럭텀은 정보맥락의 구조적인 체계를 만들면 고객의 문제를 풀 수 있겠다는 생각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고 했다.

소리 인식 기반 악보학습 플랫폼 '피아노키위즈'를 운영하는 클레브레인은 종이 악보를 사용하는 문제를 개선해 전자기기에서 악보 열람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돕고, 실시간으로 연주 경험을 개선하는 AI 튜터를 제공한다.

박웅찬 클레브레인 대표는 "악보 플랫폼 중 소리 인식 기반 악보 넘김, 악보 학습과 같은 연주 경험 개선 기능을 지원하는 최초의 서비스"라며 "세상 모든 악보에 소리 인식 기반의 연주 경험 솔루션을 적용시켜 악보 시장을 독점하고 혁신하겠다"고 강조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