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쉬' 제품 10개 중 4개 '부적합'..서울시 "판매금지 조치"

머니투데이 김지현 기자 | 2024.05.28 14:22

(종합)알리와 '핫라인' 구축해 신속 조치…유사 제품 막을 방법은 '고민'

서울시가 중국의 대표 쇼핑 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이하 알리)·테무·쉬인에서 판매 중인 제품 가운데 유해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한 품목들에 대해 모두 판매금지를 요청했다.

송호재 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28일 서울시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지난달 8일부터 총 7차례에 걸쳐 알리·테무·쉬인에서 판매하는 어린이 제품 93개를 검사한 결과 40개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며 "이 중 이번주 결과가 나온 7개 제품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이트에서 내려간 상태"라고 밝혔다.
/그래픽=이지혜


어린이 제품 43%가 '부적합'…발암·중금속 물질 검출


시는 올 들어 해외 직구 제품들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커지자 지난달부터 알리·테무·쉬인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품들을 대상으로 유해성과 내구성 등을 검사해왔다. 어린이들이 직접 만지고 사용하는 93개 제품에 대해 우선 검사를 실시했고, 그중 43%(40개)에 대해 부적합 판정을 내렸다. 단일 제품에서 여러 유해 성분이 검출된 경우도 있어 발생 건수로는 총 57건의 부적합 제품이 나왔다.

가장 많이 검출된 유해 성분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였다. 완구와 학용품, 장신구 등 총 25개 제품에서 확인됐다. 납·니켈 등 중금속이 기준치를 초과한 제품은 15개였다. 송 정책관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어린이들의 생식 기능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습기 살균제 성분으로 알려진 CMIT(클로로메틸이소치아졸리논)·MIT(메틸이소치아졸리논)와 같은 사용금지 방부제(3건)와 폼알데하이드(2건), 붕소(2건), 바륨(1건) 등도 기준치를 초과한 제품이 있었다. CMIT와 MIT는 피부·호흡기에 강한 자극을 일으키고, 흡입·섭취·피부 접촉 시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다. 붕소는 생식계통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바륨은 위장관장애·심전도 이상·근육마비 등을 유발한다. 기계적·물리적 시험에 탈락한 제품은 총 9개로 날카로운 부분이 베임·긁힘 등을 유발하고, 작은 부품으로 인한 삼킴·질식 등의 위험에 노출됐다.


어린이용 가죽가방 모두 유해물질..가죽 벨트에선 '납' 검출


송호재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이 28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해외 온라인 쇼핑 플랫폼 판매 제품 안전성 검사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시는 이날 이번 주(5월 5째주)에 실시한 안전성 검사결과도 함께 발표했다. 쉬인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가죽가방 4종 모두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1개 제품에선 암을 일으키는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를 1.2배 초과했고, 3개 제품에선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 대비 최대 153배 넘게 나왔다.

어린이용 신발과 가죽 벨트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 폼알데하이드가 초과 검출됐다. 신발 1개 깔창에선 폼알데하이드 수치가 기준치를 1.8배 초과했고, 나머지 1개 제품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 대비 428배 이상 나왔다. 어린이용 가죽 벨트에선 납이 안전 기준치보다 1.78배 더 많이 검출됐다.


송 정책관은 "향후 안전성 검사 대상을 어린이 제품에서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식품용기, 위생용품, DIY 사수, 킥보드 등 어린이용 놀이기구, 화장품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신속한 검사를 위해 지난 25일 국가기술표준원 안전인증기관 3곳와 업무협약을 맺었으며, 체계적인 검사를 이어나가겠다"고도 했다.


"유사 제품 올라와 소모적, 플랫폼사와 논의 중"


/삽화=뉴스1
시는 현재 통신판매업자 신고를 한 알리와는 '핫라인'을 구축하고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에 대응하고 있다. 송 정책관은 "다른 해외 플랫폼사에도 통신판매업 신고를 요청한 상태"라며 "지난주까지 유해성이 나온 33개 제품은 모두 판매금지를 요청했으며 사이트에서 내려갔다"고 강조했다.

다만 부적합 판정 품목이 빠지더라도 유사 제품이 대체되는 경우가 있단 지적에 대해선 "실제로 약간 변형을 한 비슷한 제품이 올라오고 있다"고 지적한 뒤 "상당히 소모적이라고 느껴 어떻게 해야할지 플랫폼사와 논의 중"이라며 "플랫폼사에서 자체적으로 유해성이 있을 것 같은 제품에 대해 자체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판단이고 이와 관련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정부가 유해성 우려가 큰 품목들에 대해 안전성 검사를 직접 실시하겠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해선 "검사 효율성과 신속성을 위해 5월 셋째주쯤 관세청과는 검사 품목이 중복되지 않도록 하는 등 협의를 했다"며 "정부가 전 품목을 한다고 해서 고민해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스트 클릭

  1. 1 손웅정 변호사에 '1억 리베이트' 제안한 학부모… "형사 문제될 수도"
  2. 2 '낙태 논란' 허웅, 방송계 이어 광고계도 지우기…동생 허훈만 남았다
  3. 3 "네가 낙태시켰잖아" 전 여친에 허웅 "무슨 소리야"…녹취록 논란
  4. 4 아편전쟁에 빼앗긴 섬, 155년만에 중국 품으로[뉴스속오늘]
  5. 5 "입맛 뚝 떨어져"…즉석밥 뒤덮은 '곰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