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고령층 더 때렸다

머니투데이 김주현 기자 | 2024.05.28 05:15

2021년 이후 물가 12.8% 급등…소비증가율 5%P 낮아져
실질 구매력·자산가치 감소 등 영향 고령·저소득층 더 타격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사진=뉴시스
2021년 이후 가파르게 이어진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소비증가율이 약 5%포인트(p) 낮아졌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물가 상승의 영향은 음식료품과 에너지 소비 비중이 높았던 고령층과 저소득층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고물가와 소비: 가계의 소비바스켓과 금융자산에 따른 이질적인 영향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이후 최근까지의 누적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총 12.8%(연율 3.8%)로 2010년대 평균(연율 1.4%)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와 소비 흐름을 살펴보면 공급요인의 영향이 큰 재화소비를 중심으로 물가상승에 따른 소비둔화가 뚜렷했다. 물가상승은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축소시키고 자산·부채의 실질가치를 하락시키는 방식 등으로 민간소비에 영향을 미친다. 영향의 정도는 가계의 소비품목 구성(소비바스켓)과 재무상황에 따라 상이했다.

연령대별, 소득분위별 실효 물가상승률/그래프=한국은행
한은이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물가상승은 2021~2022년 누적으로 실질구매력 축소 등을 통해 소비증가율을 약 4%포인트(p) 낮췄다.

이에 더해 가계별 금융자산·부채의 실질가치 변동에 따른 효과도 같은 기간 소비를 1%p 내외로 위축시켰다. 물가상승으로 부채부담이 줄어든 가계의 소비개선보다 자산가치가 훼손된 가계의 소비위축이 더 컸다는 설명이다.


가계의 소비지출 품목은 연령·소득수준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예컨대 물가상승률이 높았던 식료품이나 에너지 등을 많이 소비하는 가계일수록 실제 체감하는 실효 물가상승률이 높고 물가 영향을 많이 받았다.

가계 소비품목의 차이를 고려한 실효 물가상승률은 필수재 비중이 큰 고령층(16%)과 저소득층(15.5%)에서 높게 나타났다. 청장년층(14.3%)과 고소득층(14.2%)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덜했다. 물가상승의 부정적 영향이 컸던 고령층은 금융자산 보유 등으로 전반적으로 물가상승의 손해를 보는 대신 금리상승으로 이득을 봤다는 분석이다.

반대로 주택담보대출 등을 많이 보유한 저연령층 자가거주자는 물가상승에 따른 부채가치 하락의 이득을 봤지만 금리상승으로 이자비용이 늘어 효과가 상쇄됐다.

베스트 클릭

  1. 1 "임신한 딸이 계단 청소를?"…머리채 잡은 장모 고소한 사위
  2. 2 [단독]유승준 '또' 한국행 거부 당했다…"대법서 두차례나 승소했는데"
  3. 3 "대한민국이 날 버렸어" 홍명보의 말…안정환 과거 '일침' 재조명
  4. 4 "봉하마을 뒷산 절벽서 뛰어내려"…중학교 시험지 예문 논란
  5. 5 유명 사업가, 독주 먹여 성범죄→임신까지 했는데…드러난 '충격' 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