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측 "한중일이 협력하면 반도체 공급망 안정…서로에 이익"

머니투데이 김종훈 기자 | 2024.05.27 14:22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즈 사설 게재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왼쪽) 일본 총리, 리창(오른쪽) 중국 국무원 총리가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중국 관영 영자신문 글로벌타임즈(GT)가 27일 게재한 사설에서 이번 한일중 정상회의를 지역 반도체 공급망을 안정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하며, 미국 간섭은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영매체 보도 내용는 중국 정부의 속내를 엿볼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한중일 GDP 세계 25%, 협력하면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


GT는 이날 새벽에 게재한 '한중일 정상회의 재개로 3개국은 새로운 여정을 시작했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이번 정상회의는 권역 번영과 평화 유지를 위한 3개국 협력이 재개됐다는 의미가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매체는 "한중일 3개국은 인구로 따지면 전세계의 20%, 국내총생산(GDP)로 따지면 전세계의 25%를 차지한다"며 "3개국 협력이 새 국면을 맞음에 따라 권역 발전도 보다 촉진될 것"이라고 했다.

특히 GT는 "반도체 분야에서 한국은 기술, 일본은 금융, 중국은 시장성에서 서로에게 이득을 가져다줄 수 있다"며 "3개국이 협력한다면 권역 내는 물론 전세계 반도체 공급망 안정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미국은 동북아시아 정세에 개입해 갈등을 일으킨다. 과학 기술 분야에서 폐쇄 장벽을 세우고 한국와 일본에 밧줄을 매달아 장벽 안에 가둔다"면서 미국이 한일중 관계를 훼방한다고 비판했다.


GT는 "이런 배경 속에서 솔직한 대화를 통해 3개국 간 분위기를 환기하기 위해 한중일 정상이 만난 것"이라면서, 한국과 일본에 인식 전환도 촉구했다. 매체는 이번 한중일 정상회의가 4년 5개월 만에 재개됐음을 언급하면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 위안부와 영토 영유권 문제 등 역사적 배경 때문에 (한중일이) 서로를 충분히 신뢰하지 못했던 것은 맞다"며 "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한국과 일본이 중국의 광범위한 발전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다는 것"이라고 했다.



"미국 개입 최소화, 미래 함께 만들어나가야"


GT는 "이런 맥락에서 이번 정상회의는 과거 성과를 되돌아보는 것은 물론 처음 약속과 나아가기로 했던 방향을 되짚어야 한다"며 "다음 10년을 위한 삼자 협력을 이뤄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미국과 같은 외세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삼자 협력을 새로운 단계로 끌어올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GT는 "과거는 바꾸기 어렵지만 미래는 한중일 3개국이 함께 만들어 나갈 수 있다"며 "협력적 자세로 권역과 세계 평화, 안정과 번영을 위해 함께 나아가야 한다"고 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