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 3D프린팅 안전성 평가방법 'ISO 국제표준' 제정

머니투데이 김훈남 기자 | 2024.05.27 13:53
성우철 KCL 책임연구원이 지난달 미국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에서 개최된 23차 ISO/TC 261 총회, WG6(Environment, health and safety) 회의에서 비산업공간의 3D프린터 유해물질 평가방법 국제표준으로 제정된 ISO/ASTM 52933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KCL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은 비산업 공간에서 3D프린터 사용 시 방출되는 유해물질 평가방법이 ISO(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ISO는 학교, 사무실 등 비산업 현장에서 재료압출방식 3D프린터 사용시 방출되는 유해물질 측정 방법과 유해물질 저감을 위한 권고사항을 포함했다.

일반적으로 재료압출방식 3D프린터는 PLA, ABS 등 필라멘트 소재를 프린터 노즐에서 고온으로 열을 가해 출력한다. 이때 100㎚(나노미터) 이하 초미세먼지와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등이 방출된다. 밀폐 공간에서 3D프린터 여러대를 사용하는 경우 유해물질의 농도가 높아질 수 있꼬 장시간 노출 시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KCL 측은 "정부는 범부처 '3D프린팅 안전 강화 대책'을 수립해 안전한 3D프린터 사용과 관리 체계를 마련했다"다며 "ISO 표준이 제정되면서 안전 가이드라인에 3D 프린팅 소재와 장비에 대한 실증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사용환경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국제표준 제정을 주도한 성우철 KCL 책임연구원은 "산업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환경이 취약할 수 있는 학교, 사무실 등에서 3D프린터 사용시 방출되는 유해물질 평가 방법을 개발했다"며 "안전한 3D프린팅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국제표준으로 제정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