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R 규체 체계 마련 나선 원안위…내년도 R&D 예산 증액 요청

머니투데이 박건희 기자 | 2024.05.23 18:32

제195회 원자력안전위원회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23일 열린 제195회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원자력안전위원회

차세대 소형원자로(SMR)의 규제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본격적인 R&D(연구·개발)에 나선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내년도 R&D 예산으로 총 568억원을 요구한다.

원안위는 23일 제196회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열고 '2025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을 원안 의결했다고 이날 밝혔다. 원안위의 내년도 총 지출요구안은 총 2774억원(일반 회계 1514억원, 원자력기금 1260억원)이다.

원안위는 2024년도 대비 153억원(11.3%) 증액한 1514억원을 내년도 예산으로 요구했다. 특히 원안위가 SMR 기술 개발을 앞두고 선제적인 규제 체계 마련에 나서면서 SMR 규체 체계 구축과 관련한 R&D(연구·개발) 예산이 증액되거나 추가됐다.

SMR은 정부가 국가 핵심전략기술로 꼽은 차세대 원전이다. 대형원전 대비 발전 용량과 크기를 줄이고 복잡한 구동장치를 원자로 하나에 넣었다. 모듈형으로 구성해 기존 원전에서 발생하던 냉각수 누설 등 안전사고를 줄여 원전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원안위는 SMR 규제 체계를 구축하고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등 R&D 사업에 568억원을 요구했다. 지난해(410억원) 대비 158억원 늘었다.


중소형원자로 안전규제 기반기술 개발을 위한 요구 예산은 올해(68억원) 대비 약 2배가량 증액된 120억원이다. 소형모듈원자로 전주기 안전규제 검증기술 개발을 위한 예산으로 38억원을 추가 요구했다.

한편 주변국 원자력활동 대응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예산은 5억 증액했다. 2025년까지 수행할 예정인 '원자력안전규제 요소·융합기술개발' 예산은 10억원 감축했다.

의결된 예산안은 국가재정법에 따라 이번 달 31일까지 기획재정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산소마스크 내려오고 승객들 코피 쏟고…대만행 대한항공편 긴급 회항
  2. 2 '처형 강제추행' 혐의 유영재, 검찰 송치…선우은숙 측 녹취록 인정
  3. 3 절반이나 남아 생산라인 세웠다…재고 쌓인 전기차
  4. 4 '상간녀' 저격했는데 엉뚱한 사람…황정음, 3개월 만에 결국 피소
  5. 5 새까맣게 덮인 북한산 정상…'러브버그' 놀란 비명 더 멀리 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