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시평]조용한 퇴직

머니투데이 이윤학 전 BNK자산운용 대표이사 | 2024.05.27 02:22
전 BNK자산운용 대표
여의도는 일벌레들의 천국이다.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아니 밤을 꼬박 새우는 사람까지 정말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 많다. 오죽했으면 주말 없이 계속 일한다는 의미의 '월화수목금금금' 이란 말이 나왔을까. 힘든 일을 쉬지 않고 한다는 관점에선 일벌레들의 천국이 아니라 무덤인 셈이다.

구 한말 고종황제가 땀을 뻘뻘 흘리며 테니스를 치는 서양 외교관들에게 "그렇게 힘든 일은 아랫것에게 시키지 왜 그리 힘들게 고생을 하시오"라고 말했다는 일화가 있다. 그렇다. 원래 일은 불과 몇백 년 전만 하더라도 노예들의 몫이었다. 히브리어로 일은 '노예'와 같은 단어였고 중세까지 프랑스든 독일이든 일은 고통과 고생을 의미하는 단어였다. 르네상스 이후 마틴 루터는 "열심히 일하는 사람은 선하고 일하지 않거나 열심히 일하지 않는 사람은 도덕적으로 열등하다"고 말했다. 더 나아가 장 칼뱅은 "일은 신의 은총이자 구원의 수단"이라며 프로테스탄티즘(Protestantism)은 일을 '소명'(calling)으로 격상시켰다.

우리가 일을 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 루터나 칼뱅으로부터 시작된 숭고한 '소명(召命) 의식',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사회에 헌신한다는 의미다. 두 번째는 경력(Career)으로서의 일, 경제적 이익을 넘어서 일을 통하여 지위, 성장, 명예 등 성취감을 얻는 것이다. 마지막이 그냥 호구지책, 생계수단으로서 일(Job)이다.

일에 대한 직장인들의 부담감, 거부감은 수천 년간 깊게 새겨진 DNA 때문일까? 몸속 저 안쪽에서부터 올라오는 네거티브한 느낌은 어쩔 수 없나 보다. 얼마 전 한 HR기업에서 조사한 바로는 직장인 두 명 중 한 명이 '조용한 퇴직'(Quiet Quitting) 상태라고 한다. 조용한 퇴직은 미국에서 온 개념인데 실제 직장에서 퇴사하지는 않고 최소한의 업무만 처리하며 회사에 기여하려는 의지가 없는 것을 말한다. 조용한 퇴직를 하는 첫 번째 이유가 '회사의 연봉과 복지 등이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33%)이라고 했다. '일하는 것 자체에 열의가 없어서'(30%)를 포함한다면 전체의 세 명 중에 두 명이 호구지책으로 일(Job)을 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실제 동료가 조용한 퇴직을 하는 것에 대해 전체의 3분의 2가 '긍정적'이라고 대답했다고 하니 정말 이제 '조용한 퇴직'은 시대적 흐름인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조용한 퇴직'을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돈 받는 만큼만 일하겠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미 우리나라엔 조용한 퇴직이 만연한 것 같다. 우리나라는 연간 노동시간이 1,910시간으로 OECD 국가 중 네 번째로 노동시간이 많지만 노동생산성은 OECD 국가 37개국 중에서 33위로 사실상 꼴찌 수준이다. 일을 하는 시간은 긴데 생산성은 바닥이라는 이야기다. 사실상 '조용한 퇴직'이 이미 진행돼 있음을 보여준다.

일이 주는 가치에서 소명의식까지는 아니더라도 커리어로서 자기성취감을 가져보면 어떨까? 단지 호구지책, Job으로서 일을 하기엔 너무나 크고 소중한 가치가 많다. 경험상 연봉이나 성과급, 승진, 이런 거는 그냥 다 따라온다. 일은 새로운 세상을 열어주는 대문이다. 거기서 좋은 사람을 만나게 되고 새로운 것을 배우게 해준다. 단지 호구지책의 봉급쟁이로 살아서는 느낄 수 없는 소중한 것들이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