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프트 공연 표가 4800만원?"… 미 하원 '암표 금지법' 통과

머니투데이 이지현 기자 | 2024.05.17 15:26
테일러 스위프트의 '에라스 투어'(Eras Tour) 공연을 보려는 팬들이 공연장 앞에 모여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AP=뉴시스
미국에서 앞으로 공연 표를 사고 팔 때에는 수수료를 포함한 정확한 금액을 사전에 고지해야 한다. 미 연방 차원에서 암표 등을 금지해 티켓 구매자를 보호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6일(현지시간) CNBC, 더힐 등에 따르면 전날 '주요 행사 티켓팅 요금 투명성(Transparency In Charges for Key Events Ticketing, TICKET) 법'이 미국 하원에서 찬성 388표, 반대 24표로 통과됐다.

일명 '티켓(TICKET) 법'이라고 불리는 해당 법안은 수수료를 포함한 티켓의 모든 비용을 소비자에게 미리 공개하도록 함으로써 공연 표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는데 주안점을 둔다. 또 판매자가 실제 소유하고 있는 표가 아닐 경우 판매가 금지돼 소유 여부를 정확히 공개해야 한다. 공연이 취소될 경우 에는 환불을 철저히 보장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법안 통과를 주도한 미 하원 에너지 및 상업 위원회 최고 위원들은 공동 성명을 통해 "표 시장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회복함으로써 단순히 콘서트, 쇼 또는 스포츠 행사를 즐기고 싶어 하는 소비자를 좌절시키는 기만적인 표 판매 관행을 종식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티켓 판매에 대한 소비자 불만은 2022년 미국의 유명 가수 테일러 스위프트의 '디 에라스 투어(The Eras Tour)'에서 촉발됐다. 당시 스위프트 콘서트의 인기가 치솟자 '재판매꾼(리셀러)'이 표를 대량 사재기하기 위해 '봇(bot)'을 돌려 표 판매 웹사이트 '티켓마스터'에 동시 접속했다. 그러자 사이트가 수시로 다운되면서 많은 팬들이 표를 구하지 못했고 티켓 재판매 사이트인 '스텁허브'에선 스위프트의 콘서트 표가 3만5000달러(약 4746만원)에 판매되기도 했다.


이후 미 의회가 관련 청문회까지 열었으나 각 주 차원에서 표 재판매와 관련한 규제 법안이 만들어지는 수준에 그쳤다. 지난 7일 미네소타주는 스위프트의 인기 앨범 이름이자 그의 출생 연도 '1989'를 차용한 법안 '하우스 파일 1989(HF1989)'를 제정해 표 구매자를 보호하도록 했고 메릴랜드주 역시 유사한 법을 제정한 바 있다.

현재 미 상원에도 비슷한 취지의 '팬 퍼스트 법(Fans First Act)'이 발의된 상태다. 미국 유명 가수들은 팬들을 위해 티켓 구매를 더 공정하게 만들기를 원한다며 해당 법안에 지지를 표하기도 했다. 지난 4월 빌리 아일리시, 로드, 그린데이 등 250여명의 가수들은 '팬 퍼스트 법(Fans First Act)'을 지지하는 서한에 서명하며 의회에 "약탈적 재판매꾼(리셀러)의 기만적 티켓 판매 관행과 이런 관행을 통해 이익을 얻는 플랫폼에 맞서 싸워달라"고 촉구했다.

하원을 통과한 '티켓법'은 이제 상원에 회부됐다. 해당 법안을 공동 발의한 얀 샤코프스키 민주당 하원의원은 법안 통과 직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X(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과도한 수수료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는 데 가까워졌다"며 "동료들과 함께 상원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2. 2 "말도 안 되는 휴진하게 된 이유는…" 소아흉부외과 교수 '통곡의 편지'
  3. 3 신동엽, '대마초 사건' 자폭 개그에…"부끄러운 줄 모르냐" 일침
  4. 4 3시간만에 수정된 '최태원 이혼 판결문'…"파기 사유도 가능"
  5. 5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