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평균 추월한 한국 먹거리 물가…과일·외식이 끌어올려

머니투데이 유예림 기자 | 2024.04.23 05:30
물가상승률 추이/그래픽=이지혜
한국의 식품 물가 상승률이 OECD 평균을 넘어서는 등 밥상 물가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5월 가정의 달과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물가가 더 오를 거란 우려가 커지자 할당관세, 유류세 등을 지원하고 업계에 협조를 요청하고 나섰다.

2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의 물가 상승률은 6.95%로 OECD 평균(5.32%)을 웃돌았다. OECD 평균을 넘어선 것은 2021년 11월 이후 2년 3개월 만으로, 집계된 35개 국가 중 한국의 물가 상승률이 세 번째로 높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로 급등했던 전 세계 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부터 하향 단계에 접어든 반면 한국은 지난해 7월 3.81%로 저점을 찍은 뒤 10월 이후 5~7%대로 올라서면서 OECD 평균을 넘어섰다.

한국은 채소, 과일 등 신선식품·농산물과 외식 물가가 식품 물가를 전반적으로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품목별 물가 상승률은 외식 3.4%, 채소 10.9%, 과일 40.3%로 모두 소비자물가 상승률(3.1%)을 웃돈다.

또 품목별 물가 기여도를 살펴보면 농산물 0.79%포인트, 외식은 0.48%포인트로 집계됐다. 기여도는 품목별 가격 추이가 전체 물가상승률에 영향을 미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즉, 농산물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1%)의 28%를, 외식은 15%가량을 차지해 그만큼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미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외식업의 경우 팬데믹 이후 외식업이 다시 활기를 찾고 구인난에 따른 임금 인상, 원재룟값 압박이 쌓이며 도미노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물가 잡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지만 고환율·고유가에 따른 수입 원재료 가격 상승이 가공식품·외식 물가 인상을 더 부채질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농림축산식품부 등 정부는 식품·외식 기업에 접촉해 물가 안정에 동참해달라며 요청하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22일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여 초콜릿류 제품의 가격 인상 시기를 종전 5월1일에서 1개월 뒤로 늦추기로 했다.

업계는 통상 짧게는 2~3개월, 길게는 1년 치 재료를 미리 수매해 두지만 고환율과 고유가 여파에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식품업계 1위인 CJ제일제당의 경우 사업보고서에서 지난해 기준 원달러환율이 10% 오르면 세후 이익이 181억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환율 상승이 수입 단가로 직결되는 만큼 원가율과 매출, 영업이익 등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며 "고환율 장세가 지속되면 가격 조정을 검토할 수밖에 없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