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올해 7660억 규모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 구매

머니투데이 정인지 기자 | 2024.04.22 15:21
/사진제공=보건복지부
정부 부처를 비롯한 공공기관은 올해 7700억원에 육박하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을 우선 구매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22일 '2024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촉진위원회(이하 촉진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에 따라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은 매년 제품, 용역·서비스 총구매액의 1% 이상을 지정된 중증장애인 생산시설에서 구매해야 한다. 지난해 공공기관 1040곳의 총구매액 71조3703억원 중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 구매액은 7614억원으로 집계됐다. 우선구매 비율은 전년 대비 0.06%포인트(p) 상승한 1.07%를 기록했다.

올해 정부는 전년 실적 대비 46억원 증가한 7660억원을 우선 구매 예산으로 편성했다. 우선구매 비율도 1.12%로 확정했다.


지난 2월 특별법 개정으로 의무구매비율은 2% 내에서 복지부 장관이 결정할 수 있게 됐다. 의무구매비율 미달성 공공기관은 하위법령 개정에 따라 관련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 정부는 또 2013년 이후 11년 만에 박람회를 개최하는 등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 홍보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황승현 복지부 장애인정책국장은 "1만4000명의 장애인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는 약자복지를 구현하는 중요한 제도"라며 "우선구매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생산품의 품질 향상과 사회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오물만 들어 있는게 아니었어?...북한이 띄운 풍선 만지면 벌어지는 일
  2. 2 '사생활 논란' 허웅 측, 故이선균 언급하더니 "사과드린다"
  3. 3 '10조 자산가' 서정진 "부자라고? 만져본 적 없는 돈…난 평범한 사람"
  4. 4 손웅정 변호사에 '1억 리베이트' 제안한 학부모… "형사 문제될 수도"
  5. 5 마이클 잭슨, 사망 당시 '7000억' 빚더미…"장난감에 큰 돈 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