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대한민국' 주민등록 평균연령 사상 첫 '45세' 넘어

머니투데이 이창명 기자 | 2024.04.10 15:28
10년간 대한민국 평균연령 추이/그래픽=최헌정
대한민국 전국 평균연령이 사상 처음으로 45세를 넘어섰다.

10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평균연령이 45세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달(44.4세)보다 0.6세 높아진 것이다. 남성의 평균연령은 43.8세, 여성은 46.1세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견줘 남성은 0.5세, 여성은 0.6세 더 높아진 수치다.

17개 광역시·도 중에선 세종시가 유일하게 40대 미만인 38.8세를 기록했고, 남성 38.3세, 여성 39.3세였다. 가장 연령이 높은 지역은 전남으로 48.7세였다. 전남지역의 남성연령은 47세, 여성연령은 50.5세를 기록해 각 성별 기준으로도 연령이 가장 높았다. 전남에서 가장 연령이 낮은 곳은 광양시(43.6세)였고, 가장 높은 곳은 고흥군(58.4세)이었다.

서울시 평균연령은 44.6세였으며 강남구가 42.6세로 가장 낮았고, 도봉구가 47.7세로 가장 많았다. 경기도 평균연령은 42.3세였고 특히 화성시(39.1세)와 수원시 영통구(38.9세)가 기초지자체 중 40세 미만으로 남은 2곳으로 파악됐다. 반면 가평군은 51.4세로 경기도에서 가장 연령이 높았다.


인천시 평균연령은 44세, 가장 연령이 낮은 곳은 연수구(41세)였으며, 가장 높은 곳은 강화군(54.9세)으로 집계됐다. 부산시는 평균 46.8세, 강서구가 40.4세로 가장 젊었고, 영도구가 51.9세로 가장 높았다.

지난 10년간 전국 평균연령 추이를 보면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거주불명자 및 재외국민포함, 외국인 제외) 평균연령은 연간 0.5~0.6세씩 늘어나는 추세다. 2014년 3월 평균연령은 39.7세로 지난달보다 5.3세 낮았다. 올해 초까지 40세 미만이었던 대전시 유성구와 천안시 서북구도 이달 들어 평균 연령 40세에 진입해 평균연령이 40세 미만인 지역도 줄었다. 이는 저출산·고령화추이가 반영된 결과다. 앞으로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평균연령이 더 가파르게 올라갈 전망이다.

한편 주민등록 인구통계 집계 이래 우리나라에서 나홀로 사는 1인 세대가 1000만명을 처음 돌파했다. 지난달 전국 1인 세대 수는 1002만1413개로 파악됐다. 지난 2월 1인 세대 수는 998만1702세대였다. 1인 세대 수는 전체 2400만2008세대 중 41.8%를 차지해 5가구 중 2가구가 1인 세대로 나타났다.

베스트 클릭

  1. 1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2. 2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3. 3 "말도 안 되는 휴진하게 된 이유는…" 소아흉부외과 교수 '통곡의 편지'
  4. 4 3시간만에 수정된 '최태원 이혼 판결문'…"파기 사유도 가능"
  5. 5 신동엽, '대마초 사건' 자폭 개그에…"부끄러운 줄 모르냐" 일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