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금융권, 원전생태계에 연내 1000억 융자 공급

머니투데이 최민경 기자 | 2024.04.04 09:47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경남 창원 경남도청에서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 주제로 열린 열네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정부와 금융권이 원전 산업의 신규 투자 지원을 위해 연내 약 1000억원 규모의 융자금을 공급한다. 이달에만 500억원 이상 공급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서 국민·기업·신한·부산·우리·하나은행 등 6개 은행과 '원전 생태계 특별 금융지원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원전산업 관련 민생토론회의 후속 조치로 열린 협약식에는 최남호 산업부 2차관, 6개 은행 부행장, 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장, 원자력산업협회 상근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원전 생태계 특별 금융지원 사업은 원전 중소·중견기업들의 시설·운전 자금으로 쓰일 전망이다. 운전자금은 인건비 및 자재구매비, 시설자금은 건물 신·증축, 설비투자 비용 등에 활용된다.

대출금리는 국고채 3년물 평균 수익률에 연동되는 분기별 변동금리로 연 2%대 최저 수준의 금리다. 1분기 기준 대출 금리는 연 2.25%로 현재 중소기업이 시중은행으로부터 받는 평균 대출금리(연 5∼6%)의 절반 이하다.


대출한도는 시설자금 100억원, 운전자금 10억원이며, 기업당 최대 110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대출 기간의 경우 시설자금 최대 10년, 운전자금 최대 2년이다. 지난해 3월 2000억원 규모로 출시한 산업은행의 원전기업 특별금융상품(대출한도 50억원, 대출기간 2년)보다 유리한 조건이다.

사업 수행기관으로부터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기업들은 시중은행의 대출 심사를 거쳐 융자금을 지원받는다. 참여 은행은 전담 인력을 투입해 영업점의 대출 심사를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일부 은행은 우수 기술력을 보유하거나 신규 설비 투자기업에 대해 전결권을 완화하는 등 심사 절차를 효율화해 원전 중소·중견기업들이 신속하게 대출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각 기관은 올해 1월부터 유동성 공급을 위해 사업 공고와 지원 기업 선정, 대출 심사 등의 절차를 추진 중이다. 총 64개 기업이 약 1800억원 규모의 대출을 신청했고 이 중 50개 기업이 지원대상으로 선정됐다. 선정된 기업은 주로 기자재 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이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340억원 이상의 대출금이 집행됐고 이달 중 500억원 이상, 연내 약 1000억원 규모의 융자금이 전액 공급될 예정이다.

최남호 2차관은 "올해 회복세에 접어든 원전산업이 미래와 세계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부가 아낌없이 지원하겠다"며 "원전 기업들도 신규 투자와 기술력 제고 등 원전산업의 질적 고도화에 적극적으로 동참해달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쌍라이트' 조춘, 90세 된 근황 "목에 철심 12개…식물인간 될 뻔"
  2. 2 "중환자실 유재환, 산소호흡기 떼려고 몸부림 쳐"…모친이 전한 그 날
  3. 3 "치킨 안 팔리겠네" 한국축구 충격의 탈락…물 건너간 올림픽 특수?
  4. 4 집주소도 털린 '밀양 가해자' 잠적?…"차도 없고 종일 불 꺼놔" 목격담
  5. 5 여름엔 탄산인데 "이 음료 먹지 마세요"…전량 판매중단·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