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차! 주민증 깜빡해도…손바닥 펴면 '개인 정보' 나타난다

머니투데이 박건희 기자 | 2024.04.01 12:00

고승환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 연구팀 개발

피부에 부착했던 서울대 로고' 정보 패턴이 체온에 따라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났다. 체온을 조절해 개인 정보를 숨겼다가 다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사진=한국연구재단

국내 연구진이 체온을 조절해 개인정보를 숨겼다가 필요할 때 다시 나타나게 할 수 있는 피부 패치형 정보 패턴 기술을 개발했다. 차세대 웨어러블 ID 카드에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연구재단은 고승환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체온에 반응해 정보를 사라지거나 나타나게 하는 정보 패턴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지난달 26일 게재됐다.

최근 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개인정보의 활용도가 생활 곳곳에서 높아지고 있지만 그만큼 개인정보 도용 및 침해 피해 사례도 늘고 있다.

개인정보를 필요에 따라 암호화하는 기술이 필요하지만, 기존 기술은 자외선이나 고온의 열 같은 에너지원이 필요해 실생활에서의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온도·압력 등 일정한 외적 조건에 따라 투명해지는 성질의 액정 탄성체를 활용해, 이 탄성체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 액정 탄성체는 기계적·열적 자극에 따라 분자 정렬이 바뀌는 성질을 가진 탄성체다. 특정 온도에 도달하면 투명해진다.


먼저 레이저를 이용해 부분적으로 탄성체의 투명도를 제어했다. 이어 탄성체가 투명해지는 온도를 사람의 체온 수준으로 낮췄다. 이를 통해 탄성체가 피부 체온에 닿으면 투명해지는 현상을 끌어냈다. 탄성체에 빛을 쬐기만 해도 부분적으로 반응하도록 설계해, 탄성체를 반드시 피부에 붙이지 않아도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연구팀은 해당 액정탄성체로 QR코드 패턴을 제작해 피부에 부착하는 등 웨어러블 ID 카드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정 정보 패턴을 제작하고 암호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작된 정보 패턴을 완전히 지우고 다시 새로운 정보를 심어둘 수도 있다. 탄성체 한 개를 여러 사람이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고 교수는 "정보 패턴 제작 및 체온을 통한 암호화를 통해 차세대 웨어러블 ID 카드를 만들 수 있다"며 "체온을 통해 구동하는 소프트 로봇을 개발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 연구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팬클럽 기부금 거절당했다…"곤혹스러워, 50만원 반환"
  2. 2 "술집 갔지만 술 안 마셨다"는 김호중… 김상혁·권상우·지나 '재조명'
  3. 3 "한국에선 스킨 다음에 이거 바른대"…아마존서 불티난 '한국 세럼'
  4. 4 '말 많고 탈 많은' 김호중의 수상한 처신
  5. 5 스님 얼굴에 후추액 가스총 쏜 90대…석가탄신일에 무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