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위, 내달 26일까지 SMR 안전 규제 기반 기술 신규과제 공모

머니투데이 박건희 기자 | 2024.03.27 11:07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0일 오후 대전 유성구 롯데시티호텔 대전에서 열린 혁신형 SMR 기술개발 사업단 출범식에 앞서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SMR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뉴스1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와 SMR(소형모듈원자로) 규제연구추진단이 '중소형 원자로 안전규제 기반기술 개발' 사업의 2024년 신규과제를 27일부터 내달 26일까지 31일간 공모한다.

'중소형 원자로 안전규제 기반기술 개발 사업'은 i-SMR(혁신형소형모듈원자로) 등 SMR(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규제 체계를 선제적으로 준비하는 사업이다. 원안위는 2022년부터 2028년까지 SMR 인허가 심사를 위한 규제체계 정비 및 고유 규제기술을 개발한다.

원안위는 올해 본격적으로 SMR 규제요건·검증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고 SMR 규제연구추진단을 중심으로 과제 간 연계, 상시 기획관리 등 연구 활동을 수행한다고 밝혔다.

2024년에는 기존 대형원전 중심 규제 요건과 구별해 별도의 안전성 확인이 필요한 영역을 중심으로 안전 분야 7개, 통제 분야 2개 등 9개 연구주제에 총 38억원을 투입한다. 안전 등급 전력이 불필요한 완전 피동형 안전 계통, 붕산을 사용하지 않는 노심 반응도 제어 등이다.


신규과제 공모는 27일부터 내달 26일까지 약 한 달간 진행한다. 국가연구개발혁신법·기초연구진흥법에 따른 기관 및 단체라면 누구나 응모할 수 있다. 공모 기간 동안 접수된 연구계획서를 토대로 서면 평가와 발표평가를 진행한다. 이후 협약을 거쳐 오는 5월부터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한다.

공모와 관련해 내달 3일 오후 1시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설명회를 개최한다.

김인구 추진단장은 "i-SMR 등 새로운 노형에 대한 안전성 확인을 위해서는 과학 기술적 근거 마련을 위한 규제연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대학 등 연구 역량과 기술력을 갖춘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5. 5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