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이어지는데…경제이해력 정답률 35%에 그친 '기준금리'

머니투데이 세종=정현수 기자 | 2024.02.29 11:30
경제이해력 조사의 연령대별 평균점수 및 문항별 정답률(%)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전체 국민의 경제이해력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기준금리 파급효과와 정기예금 등 금융분야의 이해력이 낮았다. 정부는 올해 6월 '디지털 경제교육 플랫폼'을 선보인다.

기획재정부가 29일 발표한 '2023년 전 국민 경제이해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제이해력 평균점수는 58.7점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수행했다. 2년 전 조사와 비교할 때 경제이해력 평균점수는 2.4점 상승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63.8점)와 20대(61.9점)의 평균점수가 높았다. 반면 70대(46.8점)와 60대(53.6점) 등 고령층의 평균점수는 낮았다. 교육수준별로도 대학교 재학 이상(64.4점)과 중학교 졸업 이하(44.6점)의 격차가 19.8점까지 벌어졌다.

정답률이 낮은 주제는 '기준금리의 파급효과'(35.3%)와 '정기예금'(37.1%) 등 금융분야였다. '재무관리'(71.4%), '수요와 공급'(79.2%)을 묻는 문항은 정답률이 비교적 높게 나왔다.


경제이해력 조사와 같이 이뤄진 경제교육 의견조사에선 경제를 '모른다'(33.1%)고 답변한 비율이 '안다'(17.1%)고 답변한 비율보다 2배 가량 높게 나왔다. 평소에 경제 관련 이슈에 관심을 가지는 국민(40.1%)은 관심 없는 국민(21.8%)보다 많았다.

최근 3년 이내 학교 밖(사회) 경제교육 경험을 묻는 질문에는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4%에 그쳤다.

기재부는 올해 6월 출범 예정인 '디지털 경제교육 플랫폼' 내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한다.

베스트 클릭

  1. 1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붕대 뒹구는 '강남 모녀 피살' 현장…"무서워 출근 못해" 주민 공포[르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