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암도 치료 밀려…필수의료 명확한 대책 나와야"

머니투데이 박미주 기자, 구단비 기자 | 2024.02.23 05:30

환자단체 '의사 복귀' 촉구

21일 서울 한 병원 응급센터 앞에서 부모와 자녀가 이동하고 있다. /사진=임한별(머니S)

"정부와 대한의사협회(의협)이 환자들의 희생을 강요하고 환자를 협박하고 인질극을 벌이고 있다. 대한민국 암 유병환자만 200만명이 넘는다. 이 사람들을 인질로 잡고 있다."(김성주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장)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 사흘째인 22일 환자단체들은 피해가 커지고 있다며 속히 의사들이 환자 곁을 지켜줄 것을 요구했다.

특히 암 환자들의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식도암 환자인 김성주 회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말기암 환자인데 지난주부터 항암치료가 밀리는 사례도 있다"며 "말기암 환자들은 생명을 담보로 치료 기회마저 박탈된 상태"라고 토로했다.

김 회장은 "이 사태를 끌고 온 보건당국이나 의료인들이 책임감을 통감해야 한다"며 "두 기관은 환자 중심이라 하면서도 환자들을 위한 어떤 개선책도 내놓지 않고 싸움판만 키우고 있고, 환자들을 갖고 인질극을 벌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건주 한국폐암환우회 회장은 "환자를 떠난 의사는 의사가 아니다"며 "의사가 돼서는 안 될 사람들이 의사가 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016년 폐암 4기 판정을 받고 현재 치료를 중단한 이 회장은 "제네바 선언에 '의사들은 어떤 경우에도 환자들을 떠나면 안 된다'는 내용이 담기지 않았나. 그런데 지금 의사들이 환자들의 생존권과 본인들의 직업 선택권을 같은 선상에 두고 비교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희귀·난치성질환 환자들은 현재까지 큰 피해는 없지만 장기화될 경우를 우려한다. 김진아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사무국장은 "희귀·난치성질환 환자는 보통 전문의가 진료해 직접적인 피해는 없지만 장기화되면 피해가 생길까 걱정스럽다"며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입장은 아니지만 필수의료를 어떻게 자리 잡게 할지 더 명확한 대책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환자단체연합회, 한국경영자총협회 등을 포함한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가입자단체도 공동 성명을 통해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대하는 의료계 집단행동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며 집단행동 중단을 촉구했다.

베스트 클릭

  1. 1 '젊은 대장암' 왜 급증하나 했더니…대학생들 달고 사는 '이 음료' 때문?
  2. 2 "친형과 아내가 만나는 것 같다"…이혼통보 받은 남편 '분노 사연'
  3. 3 "잠옷 같다" 혹평 토트넘 새 유니폼…손흥민이 입자 '반전'
  4. 4 땀 흘린후 "시원한 맥주 한잔" 찾더니…2030 결국 '이 병' 늘었다
  5. 5 "사직서 수리한대" 술렁이자…단속 나선 전공의 대표 "병원 안 돌아가"